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공정위, 19개 아파트 임대 사업자 '불공정약관' 시정 조치

by

공정거래위원회는 19개 아파트 임대 사업자의 주택임대차계약서를 점검해 5개 유형의 불공정약관 조항을 시정하도록 했다고 11일 밝혔다.

시정 대상 사업자는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뉴스테이회사 등 뉴스테이 업체 11개사와 부영주택, 티에스자산개발, 계룡건설산업, 대방하우징, 화성산업, 펜테리움건설, 와이엠개발, 유승종합건설 등 총 19개사다.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는 국토교통부에서 2015년 1월 중산층이 장기간(8년) 이사 걱정없이 거주할 수 있도록 추진한 정책이다.

주요시정 내용을 보면 매년 임대료를 5%까지 증액할 수 있도록 한 약관 조항은 통계청의 주거비 물가지수와 인근 지역의 임대료를 고려해 임대료를 인상하도록 변경됐다.

이는 주거비 물가지수나 인근 지역 임대료에 비해 과도하게 임대료가 오르면 이를 거부할 수 있는 임차인의 권리를 보장한 것이라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임차인이 대출 등을 위해 임대차보증금을 담보로 제공하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은 삭제됐다.

임차인이 임대차 보증금을 담보로 자금을 융통해도 임대인에게는 금전적 손해가 발생하지 않고 임대인이 받아야 할 돈이 생기더라도 보증금에서 이를 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풍양속' 또는 '공동생활을 현저히 저해할 경우' 등의 계약 해지 요건은 '해로운 행위', '공동의 이익에 어긋나는 행위' 등으로 구체화했다.

공정위는 계약 당사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계약을 해지할 경우에도 상당한 기간을 정해 그 이행을 요구하고 그 기간 내에 이행하지 않은 때에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임차인의 잘못으로 임대차 계약이 해지될 경우, 계약 기간동안(통상 2년) 임대료 총액의 10%를 위약금으로 정하도록 했다.

기존 약관은 임대차보증금 총액의 10%를 위약금으로 정하고 있어 손해배상액이 지나치게 과중하다고 공정위는 판단했다.

예를들면 임대차 보증금 1억 8000만원, 월 임대료 30만원인 경우 기존의 임대차 보증금 기준 위약금은 1800만원이지만 수정된 위약금을 적용하면 252만원이다.

이밖에 임대인에게 임대차 등기 등의 요구를 금지한 조항, 유익비(아파트 개량비용) 등 청구 금지 조항 등도 삭제하도록 공정위는 지시했다.

공정위는 이번 시정 조치는 아파트 임대사업자의 약관에만 해당되며 개인 간 주택임대차 계약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전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