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한국-포르투갈]끝내 아쉬웠던 세트피스 마법

by

기적은 끝내 일어나지 않았다. 한국 20세 이하(U-20) 대표팀의 도전이 아쉽게 막을 내렸다.

한국은 30일 천안종합운동장에서 펼쳐진 포르투갈과의 2017년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 16강전에서 1대3으로 패배, 청춘의 도전을 마감했다.

매서운 기세였다. 한국은 조별리그 1, 2차전에서 기니와 아르헨티나를 꺾고 2연승을 질주, 일찌감치 16강에 진출했다. 한국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주관 대회에서 2연승으로 16강에 진출하는 기록도 세웠다. 그러나 스무 살 청춘의 꿈은 조별리그 통과에 머물지 않았다. 한 단계 높은 곳을 갈망했다. 선수들은 한 마음 한 뜻으로 "더욱 높은 곳까지 가고 싶다"고 굳은 각오를 다졌다.

한국의 꿈을 이뤄줄 비밀병기는 '세트피스'였다. 신태용 감독은 이번 대회를 앞두고 세트피스에 가장 많은 공을 들였다. 수십 개가 넘는 세트피스를 준비했다. 우루과이, 세네갈과의 평가전을 통해 최종 모의고사까지 치렀다. 한국은 세트피스 상황에 따른 위치 선정과 공격 전개를 끊임없이 준비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자 비밀병기는 큰 힘을 보여주지 못했다. 한국은 이번 대회 조별리그에서 세트피스 골을 만들지 못했다. 물론 세트피스 상황에서 실점하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세트피스 득점도 없었다.

하지만 포기는 없었다. 한국은 가장 효율적으로 골을 만들기 위해 세트피스를 가다듬고 또 가다듬었다. 포르투갈과의 16강전을 앞두고도 마찬가지였다. 신 감독은 "세트피스를 조금 더 세밀하게 준비해야 골을 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포르투갈과의 경기에서 여러차례 세트피스 기회를 잡았다. 선수들은 상대 파울로 얻은 코너킥, 페널티에어리어 근처에서의 프리킥 기회를 활용해 그동안 준비했던 세트피스를 선보였다. 그러나 긴장한 탓인지 아니면 몸이 얼어붙은 탓인지 호흡이 맞지 않았다. 한국은 이날도 세트피스 공격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결국 신태용호가 간절히 바라던 '세트피스의 마법'은 일어나지 않은다. 결과는 아쉬움이었다.

천안=김가을 기자 epi17@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