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한국, 대미무역흑자 급감…흑자대국 순위 5→9위

by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대한 눈치보기 속에 올해 들어 한국의 대 미국 무역흑자 규모가 31% 급감했다. 이에따라 대미 무역흑자국가 순위에서 한국은 지난해 5위에서 올들어 9위로 추락했다.

7일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의 대미 상품수지 무역흑자는 78억9천200만 달러, 한화로 8조8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14억2천만 달러)보다 약 30.9%(약 35억2천800만 달러) 감소했다.

보호무역주의를 천명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전쟁 타깃이 될 것을 우려해 대미 수출을 줄이고 수입을 늘린 결과로 풀이된다.

이 기간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157억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23.7% 늘고, 미국으로의 수출은 236억 달러로2.1% 줄어들었다.

주요 교역국 가운데 일본과 독일, 인도 역시 대미 무역흑자 규모가 감소했다.

반면에 중국과 멕시코, 아일랜드, 베트남, 이탈리아, 캐나다 등의 경우 미국에 대한 무역흑자가 늘었다.

중국은 4.2%(43억600만달러), 아일랜드는 30.2%(31억4000만달러), 베트남은 9.3%(9억7100만달러), 이탈리아는 1.9%(1억6800만달러), 미국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으로 묶인 멕시코는 11.2%(23억2300만 달러), 캐나다는 274.9%(62억3300만달러)씩 대미무역흑자가 늘어났다.

이 영향으로 대미무역 흑자국 순위도 뒤바뀌었다.

1∼4월 대미 무역흑자대국 순위를 보면 중국(1천64억8000만달러)이 선두를 지켰다.

멕시코(230억4000만달러), 일본(226억달러), 독일(200억5000만달러), 아일랜드(135억5000만달러), 베트남(114억달러), 이탈리아(90억달러), 캐나다(85억달러)가 뒤를 이었다.

한국은 78억9200만달러의 흑자를 내 9위에 그쳤고, 인도(74억5000만달러)가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