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만혼과 산모 고령화 등으로 기형아 출산이 증가함에 따라, 선천성 기형 진단과 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이 확대된다.
20일 보건복지부는 내년부터 선천성 기형과 고위험 신생아에 대한 보험급여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1200억원 안팎의 건보재정을 투입해 선천성 대사이상 선별검사와 선천성 악안면기형에 대한 구순비 교정수술 및 치아교정 수술,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언어치료 등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하기로 했다.
보건당국과 의료계에 따르면 선천성 이상아의 발생률은 2008년 4.6%, 2009년 5.1%, 2010년 5.8%, 2011년 6.8%, 2012년 7.4% 등으로 늘고 있다.
이는 임종한 인하의대 사회·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이 2009∼2010년 사이 국내 7대 도시에서 출생한 40만3250명 중 건강보험진료비청구서에 선천성 기형 질환으로 분류된 아이들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확인된다. 2009∼2010년 태어난 선천성 기형아는 인구 1만명당 548.3명(남 306.8명·여 241.5명)으로, 신생아 100명당 약 5.5명에 달했다. 16년 전인 1993∼1994년 100명당 3.7명(1만명당 368.3명)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급증한 수치다.
이에 대해 의료계에서는 최근 결혼 연령·평균 출산연령이 늦어져 고령 임신부가 늘면서 '고위험 신생아'가 증가한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실제 통계청의 '2015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2.2세로 20년 전(27.9세)보다 4.3세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