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직장인 815명을 대상으로 '최종 승진 목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남성은 '임원급'이 1위인 반면, 여성은 '과장급'이 1위를 차지했다고 7일 밝혔다.
특히, 임원급 이상 승진 목표를 가진 비율은 남성의 경우, 절반 이상인 63.4%로 여성(32.7%)보다 30.7%포인트나 높았다.
또한 여성은 '과장급'(21.9%)이 가장 많았고, 이어 '부장급'(17.5%), '임원급'(17%), 'CEO'(15.8%), '대리급'(14.9%), '차장급'(12.9%)의 순이었다.
반면, 남성의 경우는 '임원급'(41.2%)을 첫 번째로 꼽았고, 이어 'CEO'(22.2%), '부장급'(19%), '과장급'(6.1%), '차장급'(5.9%), '대리급'(5.5%)의 순으로 여성 직장인보다 높은 직급을 목표로 했다.
최종 승진 목표까지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하는 남성은 69.6%인데 반해, 여성은 58.8%로 달성 가능성도 더 낮게 보고 있었다. 여성의 경우 직장 내 유리천장,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가능성을 낮게 예측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목표 달성까지 평균 17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으며, 세부적으로는 '10년'(19.2%). '20년 이상'(14.7%), '15년'(13%), '5년'(8.7%), '18년'(7.4%) 등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현실적으로 승진 가능한 직급에 대해 여성은 '대리급'(28.4%)을 첫 번째로 꼽았으며, 이어 과장급'(27.7%), '사원'(22%)등의 순이었다. 남성은 '부장급'(38.9%), '과장급'(19.4%), '차장급'(15.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최근 공공부문에서 여성 고위직 발탁이 확대되는 등 성별에 따른 유리천장이 완화되고 있는 추세지만, 실제 직장 내에서는 체감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하지만,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고 있는 만큼 여성들도 탁월한 성과와 역량을 보인다면 충분히 임원급 이상으로 승진할 수 있다. 미리 포기하기보다는 꾸준한 자기계발과 성과를 바탕으로 조직 내에서의 자신의 입지를 탄탄하게 하는 노력을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