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양육을 병행하는 '워킹맘'의 월 평균 자녀 보육료가 77만원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KB금융경영연구소가 7일 공개한 '2018 한국의 워킹맘 보고서(워킹맘 보고서)'에 따르면, 미취학 자녀를 키우는 데는 부부 포함 최대 7명이 매달려야 했고, 나이가 어릴수록 보육료 지출은 더욱 증가했다.
KB금융경영연구소는 고등학생 이하 자녀가 있고 주 4일, 30시간 이상 소득 활동을 하는 기혼여성 1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 보고서의 근거자료로 활용했다.
워킹맘보고서에 따르면 워킹맘 가정의 자녀 돌봄 보육료는 월평균 77만원으로 자녀가 영아인 경우 월 96만원으로 가장 많은 돈이 들어갔다. 유아·미취학 아동의 경우 75만원, 초등학생은 58만원이 소요됐다.
워킹맘 자녀는 어린이집 등 보육·교육기관을 다니더라도 하원 시간이 부모의 퇴근 시간보다 이른 것으로 나타나 사교육 또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다.
영유아 자녀를 친정어머니가 돌봐주는 비중은 49.1%로 워킹맘 본인(45.4%)보다 많았다. 배우자의 돌봄 참여 비중은 36.8%로 낮았고 시어머니의 경우 19.6% 수준, 육아도우미는 7.1%에 그쳤다. 자녀 양육에는 부부 외에도 최대 5명의 도움이 필요했고 응답자 10명 중 7명이 부부를 제외하고 추가로 1명의 도움을 받는다고 답했다.
개인·가정생활에서 얻는 스트레스에 대해 조사한 결과 워킹맘은 '일과 가사의 병행 어려움'(26.1%)이 크다고 답했다. 육체적 피로 등 건강악화(21.3%), 개인 시간의 부재(13.8%), 육아 등 자녀에 대한 소홀함(13.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남편의 경우 육체적 피로 등 건강악화가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이라는 응답이 20.5%로 가장 많았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