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를 분석한 결과, 위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품목은 '가구 및 가구설비'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폐암 유발 물질인 라돈이 검출된 '라돈 침대' 사태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면서 상담이 급증했을 뿐 아니라 충돌, 추락 등 가구로 인한 상해도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가 전년보다 1.4% 늘어난 7만2013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소비자가 다치거나 사망하거나 재산상 피해를 본 위해 발생 품목 1위는 '가구 및 가구 설비'로, 접수 건수는 1만2438건으로 전체의 17.3%를 차지했다. 라돈 검출 매트리스와 유해물질 검출 놀이 매트 때문에 위해 정보 상담이나 신청이 급증했으며 충돌이나 추락 등 가구로 인한 부상도 지속해서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가구에 이어 '가공식품'(9891건·13.7%), '건축·인테리어 자재 및 작업공구'(9453건·13.1%) 순으로 나타났다.
위해가 발생한 장소는 '주택'이 53.0%였으며 위험·위해 원인은 미끄러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물리적 충격'(42.5%)이 가장 많았다.
피해 나이를 확인할 수 있는 위해정보 6만3834건을 분석한 결과, 만 14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 건수가 37.7%를 차지했다. 이 중 6세 미만 영유아의 안전사고 건수가 무려 79.9%에 달했다. 특히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뇌진탕과 골절 사고의 경우 각각 86.3%와 65.1%가 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비자원은 이번 분석 결과를 활용해, 지속·다발하는 계층별·장소별·산업별 위해품목 및 위해원인에 맞는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콘텐츠 제작·보급, 안전 캠페인 시행 등의 위해저감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