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손승락 '통산 세이브 기록', 지금 그게 중요한게 아닌 이유

by

롯데 자이언츠 마무리는 누가 뭐래도 손승락이다.

하지만 지금 손승락은 중간계투로 마운드에 오르고 있다. 그가 마지막으로 세이브를 올린 것은 지난달 16일 KIA 타이거즈전이었고, 마지막으로 경기를 종료한 투수로 나선 건 다음 날 역시 KIA전이었다.

그리고 4월 18일, 즉 KIA와의 홈 3연전 마지막 날 손승락은 4-1로 앞선 9회초 승리를 지키기 위해 등판했다. 3점차이니 1이닝을 막으면 세이브가 주어지는 상황. 그러나 손승락은 1사후 나지완에게 중월 솔로홈런을 얻어맞은 뒤 급격하게 흔들렸다. 류승현에게 볼넷, 이범호에게 좌전안타를 잇달아 내준 손승락은 박찬호에게 우전 안타, 최원준에게 우월 2루타를 맞고 5실점한 뒤 교체됐다. 아웃카운트 하나만을 잡았다. 손승락의 생애 최악의 피칭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충격적이었다. 이날 경기에서 롯데는 9회초에만 8점을 내주며 역전패의 위기에 섰다가 9회말 KIA 불펜을 상대로 6점을 뽑아 10대9로 재역전승했다. 역사에 남을 진땀 승부였다.

이틀 뒤인 KT 위즈와의 홈경기에서도 손승락은 부진했다. 2-1로 앞선 9회초 등판했지만, ⅔이닝 동안 7타자를 맞아 2안타와 3볼넷을 내주고 3실점하며 역전을 허용해 블론세이브를 범했다. 이날도 롯데는 연장 10회말 허 일의 끝내기 안타로 5대4의 재역전승을 거두는 이변을 연출했다.

롯데는 2경기서 드라마같은 재역전승을 했지만, 손승락이 처참히 무너지는 가슴 아픈 일을 겪어야 했다. 결국 손승락은 다음 날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지난 3일 손승락이 돌아왔을 때 그의 보직은 바뀌었다. 양상문은 당시 마무리 기용에 대해 상황에 따라 컨디션이 좋은 투수를 쓰겠다고 했다.

손승락은 올시즌 자신이 주인공이 될 대기록을 앞두고 있다. 통산 세이브 부문이다. 올해 4세이브를 추가한 손승락은 개인통산 266세이브를 마크하고 있다. 이 부문 1위는 277세이브를 따내고 해외로 떠난 오승환(콜로라도 로키스)이다. 오승환은 2005년부터 2013년까지 9년 동안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약했다.

손승락은 12세이브를 추가하면 오승환을 제치고 최다 세이브 투수 자리에 오른다. 하지만 마무리 보직을 언제 되찾을 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올시즌에 가능할 지 양 감독도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구위와 자신감을 잃은 투수에게 마무리를 맡길 순 없다. 손승락에게 다행인 것은 중간계투로 보직을 바꾼 뒤 5경기에서 한 점도 내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난 15일 LG 트윈스전까지 5⅔이닝 동안 3안타, 1볼넷, 7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그의 역할은 셋업맨이다. 그렇다면 롯데의 마무리는 누가 맡아야 할까. 이에 대해 양 감독은 손승락 복귀는 시기상조라고 했다. 양 감독은 "승락이는 지금처럼 안정적으로 하고 있으면 변화를 줄 필요는 없다"면서 "본인한테도 이 상태로 좀더 가자고 얘기했다. 개인적으로 대기록 욕심이 있는 건 알지만 이해하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마무리는 구승민으로 보는게 옳다. 양 감독은 "승민이가 지금처럼 안정감을 보인다면 일단 마무리로 봐야 하지 않겠나. 그러나 꼭 한 사람을 염두에 둘 수는 없다. 상황을 봐야 한다"며 "(리드하고 있는)7,8,9회를 손승락, 구승민, 고효준, 서준원까지 4명이 맡고 정성도도 있다. 최근 불펜에 여유가 생긴 건 고무적이라고 본다"고 했다.

롯데 불펜진 보직이 달라질 수 있는 시기는 또 온다. 박진형이 현재 2군서 구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박진형은 지난해 어깨 부상을 입어 그동안 재활에 매달려왔다. 그러다 5월 들어 2군 경기에 나가 컨디션을 점검하고 있다. 지난 15~16일 KT 위즈전에서 각각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재활을 순조롭게 마쳤음을 알렸다. 양 감독은 "투구수 40~50개 정도까지 던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소 두 번 정도 더 등판하고 몸 상태에 이상이 없으면 합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박진형의 1군 보직은 롱릴리프, 셋업맨 겸업이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