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은상 신라젠 대표가 바이러스 기반 항암제 '펙사벡'의 간암 임상 3상 조기 종료에 대해 유감의 뜻을 밝혔다.
문 대표는 4일 여의도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간암 임상 3상과 관련해 조기 종료 소식을 전하게 돼 주주님과 기관투자자 여러분께 깊은 유감의 말씀을 올린다"고 전했다.
앞서 신라젠은 미국 내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DMC)로부터 펙사벡 간암 임상 3상에 대한 무용성 평가 결과 임상 중단을 권고받았다고 2일 공시한 바 있다.
무용성 평가는 개발 중인 약이 치료제로서 가치가 있는지를 따져 임상시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로, 신라젠은 2016년 1월 뉴질랜드에서 첫 임상 환자를 등록하며 미국, 한국 등에서 펙사벡의 간암 임상 3상 시험을 진행해왔다.
이날 문 대표는 "2A 임상에서의 항암바이러스 효능과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 항암바이러스로 먼저 승인 받은 임리직 등의 사례를 보았기에, 당사 임직원은 무용성 통과를 믿어 의심치 않았다. 그러나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접하게 되어 대표이사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갖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 대표는 여전히 펙사벡의 항암 능력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임상 3상 조기종료는 펙사벡의 문제가 아니며, 항암바이러스와 표적항암제 병행요법의 치료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힌 것.
이어 문 대표는 "초기 임상을 통해 펙사벡과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의 가능성을 직접 확인했다"며 "따라서 글로벌 임상 3상 시험의 잔여 예산을 신규 면역항암제 병용 임상 및 술전요법(수술 전 요법)에 투입 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문 대표는 "현재 진행 중인 임상 데이터가 일정 수준 확보되는 대로 라이선스 아웃(기술 수출)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면역항암제 시장에서 동일 약물의 적응증별 반응률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간암의 결과와는 무관하게 타 적응증 병용임상의 효능 데이터가 우수할 경우 라이선스 아웃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문 대표는 "다시 한번 간암 대상 임상의 조기 종료에 관해 임직원 전부를 대표하여 유감의 말씀을 드리며, 바이오업계에 끼칠 영향에 대해서도 막중한 책임감을 통감한다. 앞으로 펙사벡의 임상 성공을 위해 임직원 모두 각고의 심정으로 매진하겠다"고 덧붙였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