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잇몸뼈 약하면 성공적 임플란트 위해 뼈이식 고려해야

by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성 질환 관련 의료기술이 괄목할 만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 중 치과 치료의 하나인 '임플란트'는 비싸고 어려운 시술에서 보편화된 시술 중 하나로 변모했다.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해 인체에 무해하고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티타늄으로 제작된 본체를 잇몸에 식립 후 그 위에 자연치아와 흡사한 보철물을 씌워 본래의 저작력으로 회복시키는 치료로 잘 알려져 있다.

만약 치아가 없거나 충치가 심할 경우 대화 시 발음이 새는 등 언어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비어있는 치아 공간은 심미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을 소화하는 침 분비도 적어져 소화 계통 장애로 이어질 수 있으며 건강에 유의해야 할 노년층들은 다른 질환으로 발전될 수 있는 만큼 조기에 치과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지난해 7월 만 65세 이상의 환자에게 임플란트 보험이 적용된 가운데 개인 부담금이 50%에서 30%로 감소되면서 치료 비용 때문에 치료를 미루거나 포기했던 중ㆍ장년층과 노년층의 경제적 부담이 대폭 줄어들면서 임플란트 시술이 더욱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술기의 진화와 첨단 장비의 보급으로 인해 임플란트의 접근성도 크게 개선됐지만 인공 치아를 식립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환자 개인의 잇몸 뼈 상태와 건강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정밀 진단 하에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해 진행돼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특히 임플란트와 잇몸 뼈 사이의 결합인 골유착의 비율이 높아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뼈의 상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처럼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인 잇몸뼈는 시술 전 정확한 진단을 통해 그 양과 질을 판단한 후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컨대 성공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서는 반드시 건강한 잇몸뼈가 바탕이 돼야 한다.

따라서 잇몸뼈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뼈이식'이나 '상악동거상술'을 통해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실제 임플란트 시술 시 잇몸뼈가 파괴되거나 흡수돼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그러므로 틀니를 장기간 사용했거나 치주염으로 인해 잇몸뼈가 다량 흡수됐거나 충치를 오랫동안 방치해 잇몸뼈가 파괴된 경우 등의 경우에는 뼈이식을 통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충분한 잇몸뼈를 형성해야 한다.

뼈이식에 필요한 뼈는 환자 자신의 발치된 치아나 인공뼈를 이용하며 이식 후 3~6개월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뼈채취, 뼈이식, 임플란트 시술을 동시에 진행해 불편함을 줄이고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발치 후 오랜기간 방치됐거나 나이가 들수록 상악동은 점차 내려오게 되며 여러 이유로 잇몸뼈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악동 기저부를 들어올려 확보된 공간에 잇몸뼈를 이식하는 상악동 거상술도 고려할 수 있다. 상악동 거상술을 거쳐 공간이 확보되면 임플란트 식립에 돌입하며 이는 임플란트가 잇몸뼈에 단단하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 성공적인 임플란트 결과를 도출한다.

임플란트는 한 번 식립하게 되면 짧게는 10여 년 길게는 30년 이상 사용하게 되는 인공치아다. 이에 최초 시술 시 의료진의 전문성 여부와 치과의 위생 상태 및 구조물의 선택에 따라 수명 기간이 크게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 시 부작용을 줄이고 만족스러운 시술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를 위한 전문 장비를 보유한 치과에서 풍부한 임상경험과 술기를 갖춘 의료진에게 시술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포츠조선 clinic@sportschsoun.com>

도움말: 맑은미소치과 가정점 유승준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