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해 염두에 둬야 할 3대 화두로 신 시장, 신 산업, 신 소비트렌드 등 이른바 '3신(新)'이 지목됐다.
코트라가 3일 삼성동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개최한 '2020 세계시장 진출 전략 설명회'에서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메리 러블리 박사와 코트라 해외지역본부장 10명은 이런 전략을 소개했다.
우선 신 시장 전략과 관련해서는 글로벌 밸류체인 생태계의 변화에 주목해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을 새롭게 수립해야 한다는 조언이 이어졌다.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분쟁 장기화로 수입처 전환 움직임을 보이는 만큼 국내 기업들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고, 중국에서는 기술 우위 분야를 활용해 진입 기회를 발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럽의 경우 환경규제 강화로 친환경차 부품, 친환경 조선 기자재 수요가 많이 늘어날 것이라며 이런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신 산업 전략으로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진영은 물론 중국과 인도, 아세안, 중동에서도 5G, 스마트시티, 미래차 등 4차 산업혁명 흐름이 본격화할 것에 대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이밖에 신 소비트렌드로는 북미와 유럽 등에서 건강, 환경, 인권을 중시하는 윤리적 소비가 확산하고 있고, 아세안과 인도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 등이 소개됐다.
권평오 코트라 사장은 "위기에도 새로운 기회는 존재하므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기업만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서 "내년 세계시장 전망을 바탕으로 기업별 특성에 맞춰 마케팅 지원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