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이용자 감소 추세를 보이던 PC방 사용량이 3월 들어 소폭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넥슨 자회사 엔미디어플랫폼의 PC방 통계서비스 '더로그'에 따르면 3월 2일~8일 전국 PC방 총 사용시간은 2690만 시간으로 2월 마지막 주보다 1.6%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동일 기간보다 9.1% 줄어든 수치지만, 최근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지속해서 내림세를 보이던 것과 비교할 때 이례적인 반등이다.
정부는 지난 2월 23일 감염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PC방 이용 자제를 권고했다. 때문에 PC방 사용 시간이 크게 줄어든 바 있다. 그러다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PC방 사용 시간이 점차 회복하는 양상이다.
다른 게임 통계 업체 '게임트릭스'의 PC방 하루 평균 사용률은 3월 첫 주 19.85%를 기록했다. 전주(19.05%)보다 소폭 증가했다.
PC방 사용률 증가 이유는 코로나19 사태로 개학 연기와 학원 휴원이 지속되면서 놀거나 갈 곳이 마땅히 없어진 학생들이 PC방으로 대거 몰렸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개학 시즌인 3월은 PC방 시장이 비수기인데,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다소 특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PC방이 집단감염 통로로 드러나게 되면 이전보다 이용량이 줄어들 가능성도 없지 않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PC방과 노래방, 클럽, 콜라텍 등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에 휴업을 권고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역시 한 자리씩 띄어 앉은 상태로 PC방을 이용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