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에게 가장 흔한 자궁질환 중 하나인 자궁근종은 자궁 근육층에 발생하는 양성 혹으로 생리통, 생리과다, 빈혈, 난임, 요통, 빈뇨 등의 증상들을 일으킨다. 물론 완전 무증상인 자궁근종도 있지만 점점 자라면서 증상들이 유발되기 때문에 잘 관찰하며 시의 적절하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추후 임신 계획이 있는 경우 자궁근종이 임신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나이, 임신 계획, 자궁근종 상태에 따른 의료진과의 치료 플랜이 필요하다. 자궁근종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 및 자궁내피임장치인 미레나를 비롯해 근종절제수술(개복, 복강경, 자궁경, 로봇수술), 자궁동맥 색전술(UAE), 하이푸(HIFU) 등이 있다.
최근 자궁근종 치료 트렌드는 자궁보존, 최소침습, 다학제진료다. 자궁을 건강하게 유지하며 근종만을 잘 치료하기 위해서는 여러 치료 방법 중에서 가장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고 때로는 두 가지 치료를 융합해 접목할 수도 있다. 혈관 내로 미세 의료기구인 카테터를 삽입해 근종과 연결된 혈관을 색전물질로 막는 색전술이나 고강도집속초음파를 이용해 몸 바깥에서 열을 쬐어 근종을 익혀 죽이는 하이푸는 침습 부위를 최소한으로 해 빠른 회복을 돕는다. 빠른 업무 복귀가 필요한 직장여성이나 해외 거주 중인 교포환자들이 특히 선호한다. 때로는 자궁근종의 크기나 위치 문제로 색전술이나 하이푸로 자궁근종의 크기를 먼저 줄인 뒤 이후 복강경이나 자궁경으로 괴사된 근종을 완전히 제거하는 '하이브리드' 치료가 시행되기도 한다. 근종이 괴사되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지만 자궁을 적출하지 않고도 10cm 정도 크기의 거대근종을 큰 상처 자국 없이 제거할 수 있다. 상처 없는 치료를 원하는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과거에는 개수가 많거나 접근이 까다로운 위치의 자궁근종에 자궁 전체를 적출하는 자궁절제술이 이뤄진 반면, 최근에는 이러한 융합 치료를 통해 자궁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존하면서 자궁근종만을 제거하는 방법들이 발전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영상의학과, 산부인과, 인터벤션 등 여러 과의 협진 체계와 융합치료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야 한다.
김재욱 민트병원 자궁근종통합센터장(인터벤션영상의학과 전문의)은 "연령, 임신 계획, 회복기간, 일상생활 복귀, 해외 거주 등에 따른 환자 개개인의 니즈가 무척 다양하고 복합적이기 때문에 일대일의 맞춤의 진료, 치료 프로세스가 필요한 시대"라며 "자궁근종 다학제 시스템은 각 분야 전문의들이 영상검사 단계에서부터 최종 치료 방법까지 함께 고민하여 안전하고 체계적인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스포츠조선 doctorkim@sportschso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