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코오롱그룹·HDC그룹, 대기업 정규직·급여 증가율 각각 1위 기록

by

국내 대기업집단 중 지난 1년간 정규직 근로자가 가장 크게 늘어난 곳은 코오롱그룹이며, 같은 기간 정규직 급여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HCD그룹인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대기업집단 전문 데이터서비스 인포빅스가 국내 33개 대기업집단 소속 상장사 1분기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코오롱그룹 상장사의 정규직 직원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7232명이었다. 이는 젼년동기 6292명보다 14.94% 늘어난 수치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산업 자재 및 필름·전자 재료 등을 생산하는 코오롱인더스트리 정규직 인원이 1126명(41.49%) 증가했다. 다음으로 코오롱플라스틱(12.54%, 39명)과 코오롱글로벌(2.70%, 62명)의 정규직 수가 1년 새 늘어났다.

다만 코오롱머티리얼의 경우 정규직 수 156명으로 작년 1분기 말 341명보다 185명(54.25%) 줄었다. 코오롱생명과학 역시 정규직 수가 16.28% 감소했다.

이외에 정규직 직원 증가율이 높은 곳은 영풍그룹(9.35%)과 하림그룹(6.24%), 롯데그룹(5.99%), KT&G 그룹(3.92%), SK그룹(3.20%) 등 순이었다.

한화그룹의 경우 정규직 직원 증가율은 36.68%로 높았지만 상장 계열사가 1곳 늘어난 점 때문에 집계에서 제외됐다.

이와 달리 작년과 비교해 정규직 수가 줄어든 곳은 대우조선해양그룹(-5.64%)과 대림그룹(-4.74%), HDC그룹(-4.67%), 현대백화점(-2.88%) 등이었다.

한편 금융그룹을 제외하고 작년과 비교해 1분기 직원 평균 급여(기간 중 급여 총액/급여 지급 인원)가 가장 많이 증가한 대기업집단은 HDC그룹으로 조사됐다.

HDC그룹의 1분기 평균 급여는 약 2470만원으로 작년 1700만원보다 44.88% 늘었다. 다음으로는 포스코그룹 급여가 약 2360만원에서 3380만원으로 42.99% 늘었다. 이어 카카오(23.40%)·신세계(9.93%)·현대자동차(9.09%) 그룹 등도 1분기 평균 급여가 크게 늘었다.

반면 SK그룹의 올해 1분기 평균 급여는 약 3350만원으로 작년(4920만원)보다 31.91% 줄어 대기업집단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