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12·16 대책 5개월…강남권은 잡혔지만 성북구는 풍선효과로 10% 상승

by

지난해 12·16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이후 5개월 동안 서울 아파트 값이 평균 5%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는 초고가 아파트 대상 대출 규제 강화책 등으로 2% 상승에 그쳤지만 동대분과 성북구 등 비강남권은 10% 넘게 뛰는 등 풍선효과를 나타냈다.

1일 KB국민은행 부동산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65만원으로 5개월 전인 작년 12월(1016만원)과 비교해 4.9%(49만원) 상승했다. 이는 1평(3.3㎡) 당 163만원이 오른 것으로 전용면적 84㎡ 아파트 기준으로 따지면 4156만원이나 상승한 셈이다.

이 같은 상승 폭은 작년 7월부터 12월까지 5개월 동안 서울 아파트값이 7.0% 오른 것과 비교해 다소 누그러진 편이다. 특히 최근 5개월간 강남구 아파트값은 평균 2.3%, 서초구는 2.2%, 송파구는 1.5% 오르는 데 그쳤다. 작년 7월부터 12월까지 강남, 서초, 송파 '강남 3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각각 7.5%, 8.0%, 10.8%에 달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상승세가 크게 꺾였다.

이와 달리 동대문구는 최근 5개월 사이 아파트값이 평균 10.2% 올랐으며 성북구는 10.1%이 오르는 등 10% 넘게 상승했다.

다음으로 강북구(7.7%)와 구로구(7.3%), 금천구(7.2%), 관악구(7.0%)가 7% 넘게 올랐고, 성동구(6.9%), 강동구(6.5%), 서대문구(6.4%), 양천구(6.4%), 동작구(6.0%)도 6% 넘게 올랐다. 이외에도 영등포구(5.6%)와 은평구(5.5%), 마포구(5.3%), 중랑구(5.1%) 등 서울 지역 대부분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5%를 넘겼다.

지난 12·16대책으로 15억원 이상 아파트에 대한 대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초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권 아파트값은 오름세가 다소 꺾였으나 비강남권 9억원 이하 주택은 풍선효과로 가격이 오히려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상승세는 주춤한 모습이지만 아파트값은 계속해서 오르면서 서울의 전용면적 84㎡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8억9471만원으로 9억원에 더욱 가까워졌다.

전용 84㎡ 평균 아파트값은 강남구가 16억7570만원, 서초구 14억6088만원, 송파구 11억4171만원 등 순으로 강남 3구가 모두 10억원을 넘겼다.

최근 아파트값이 급증한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중 한 곳인 용산구가 유일하게 11억6209만원으로 10억원을 넘겼으며 성동구(9억9666만원)와 마포구(9억6949만원)은 10억원 턱밑까지 상승했다.

한편 서울 내 84㎡ 아파트값이 평균 6억원 이하인 곳은 은평구(5억8707만원), 강북구(5억5437만원), 중랑구(5억4622만원), 금천구(5억4140만원), 도봉구(5억3102만원) 등 5곳 뿐이었다.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