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국민 기대수명 82.7년, OECD 평균보다 2년 길어…외래진료 횟수 '최고'

by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평균인 80.7년에 비교해 2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5세 이상 인구 중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32.0%)은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낮았다.

보건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OECD 보건통계' 분석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2018년 기준 82.7년(남자 79.7년, 여자 85.7년)으로 OECD 국가 평균보다 2년 길었고 기대수명이 가장 긴 일본(84.2년)보다는 1.5년 짧았다.

하지만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한국(32.0%)이 가장 적었으며, 일본(35.5%)이 그 다음으로 적었다.

호주(85.2%), 뉴질랜드(87.5%), 미국(87.9%), 캐나다(88.6%) 등 오세아니아와 북미 지역 국가에서는 조사 대상 10명 중 9명이 '본인은 건강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국민은 암에 의해서 인구 10만 명당 160.1명이, 뇌혈관 등 순환기계 질환으로 142.1명이, 치매로 11.3명이 사망해 모두 OECD 평균보다 낮았다.

다만 호흡기계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79.8명으로 OECD 평균(68.6명)보다 높았다.

자살 사망률은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았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자살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3.0명으로 리투아니아(24.4명) 다음으로 높았고 OECD 국가 평균(11.4명)의 2배에 달했다.

영아 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2.8명으로 OECD 평균(4.1명)보다 1.3명 낮았다.

2018년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 비율(흡연율)은 17.5%로 OECD 평균(17.0%) 보다 다소 높았다.

우리나라 남성의 흡연율은 30.5%로 OECD 남성 평균(20.6%)보다 높은 반면 여성은 4.5%로 OECD 여성 평균(13.7%) 보다 낮았다.

순수 알코올 기준으로 측정한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소비량은 연간 8.5ℓ로 OECD 평균(8.8ℓ)과 다소 적었다.

'과체중 및 비만'인 15세 이상 국민은 34.3%로 일본(26.7%)에 이어 두 번째로 적었다. 하지만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은 2008년 30.1%에서 2013년 31.5%, 2018년 34.3%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남미 지역인 칠레(74.2%, 2016년)와 멕시코(75.2%)는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이었다.

보건의료자원을 보면 OECD 국가와 비교해서 임상 의사, 간호 인력(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인적 자원은 부족한데 병상, 의료장비 등 물적 자원은 많았다.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당 2.4명으로 OECD 국가 평균(3.5명)에 미치지 못했다.

간호 인력은 인구 1000명당 7.2명으로 OECD 평균(8.9명)보다 1.7명 적었다.

반면 병원 병상 수는 인구 1000명당 12.4개로 일본(13.0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으며, OECD 평균(4.5개)의 약 2.8배에 이른다.

인구 100만명당 자기공명영상(MRI) 보유 대수는 30.1대, 컴퓨터단층촬영기(CT 스캐너)는 38.6대로 모두 OECD 평균(MRI 17.0대, CT 27.4대)보다 많았다.

국민 1인당 의사에게 외래 진료를 받은 횟수는 연간 16.9회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고, 이는 회원국들의 평균(6.8회)보다 2.5배 높은 수준이다.

입원환자 1인당 평균재원일수는 19.1일로 OECD 국가 중에서 일본(27.8일) 다음으로 길었다.

보건의료부문 서비스 및 재화에 소비된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을 의미하는 경상의료비는 2018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7.6%로 OECD 평균(8.8%)에 비교해 낮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