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로 불리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국내 회선 수가 1000만개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규제 개선에 적극 나선 정부와 5G와 결합한 다양한 기업용 인프라로 서비스를 확대한 통신업계의 노력으로 향후 전망 역시 밝다.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 통신 서비스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 IoT 가입 회선 수는 1005만1062개로, 처음으로 1000만개를 돌파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말 808만3767개를 기록한 것에서 1년 만에 200만개(24.3%)가 증가한 것이다.
서비스별로 살펴보면 원격관제 517만5040개, 차량 관제 363만9826개, 무선결제 103만8212개, 기타 19만7984개 순이었다.
업체별로는 SK텔레콤 377만3646개, 알뜰폰 280만3790만개, LG유플러스 216만3299개, KT 131만327개 순이었다.
업계는 지난해부터 급속 확산한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세가 IoT 성장을 주도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기업의 산업 현장 관리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원격관제와 차량공유 서비스에 많이 쓰이는 차량 관제 회선 수가 최근 1년간 나란히 100만개 안팎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과기부도 지난해 IoT 무선기기의 출시 활성화를 위해 적합성 평가 과정을 간소화하고 기간을 줄이는 등 규제를 적극적으로 개선했다. 올해는 자율주행차, 스마트공장 등 5G 기반 융합 서비스에 특수 서비스 개념을 도입, 망 중립성 원칙에서 예외를 두기로 해 5G와 IoT 기반의 다양한 융합 서비스가 개발될 것으로 과기부는 기대하고 있다.
통신사 역시 IoT 서비스 시장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주력 사업인 MNO(이동통신)사업부를 9개 마케팅 컴퍼니로 재편해 IoT 사업을 이 중 하나의 컴퍼니로 두는 등 향후 사업 추진에 힘을 싣고 있다.
지난해 말 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해 KT가 출시한 DX 플랫폼도 인공지능(AI), 빅데이터와 함께 IoT 플랫폼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스마트홈 수요 증가에 힘입어 올해 IoT 사업 매출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5G 기반 확대와 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요가 맞물리면서 새로운 서비스와 수요가 창출되는 등 본격적으로 IoT 서비스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