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방역지침 변화에 편의점 인기 상품도 달라

by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지침 변화에 따라 편의점 인기 제품 판매량도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편의점 매출을 분석해보면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시 '집콕' 소비 제품이, 완화 시 야외활동 관련 물품이 잘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 CU는 수도권의 거리두기가 2.5단계에서 2단계로 완화된 지난해 2월 숙취해소제와 여행용 세트 매출이 전달보다 각각 30.5%와 25.4%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2월은 정부가 15일부터 거리두기 단계를 수도권은 2단계, 비수도권은 1.5단계로 한 단계씩 완화한 시기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제한 시간은 오후 10시까지로 1시간 늦춰졌고, 영업이 금지됐던 유흥시설도 방역수칙 준수를 조건으로 오후 10시까지 영업을 할 수 있었다. 이같은 조치 덕에 식당과 술집에서 여럿이 모여 술을 마시거나 미뤄뒀던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관련 제품의 매출이 늘었다. 반면 주류(1.2%)와 도시락(2.5%), 가정간편식(3.3%) 매출의 증가폭은 저조했다.

그러나 코로나 4차 대유행이 발생한 지난해 7월 이후 숙취해소제 매출이 전달 대비 22.3% 줄었다. 12일부터 수도권의 거리두기를 최고단계인 4단계로 격상하고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사적모임을 금지 등 방역조치 강화 영향을 받았다. 여름 휴가철에도 불구하고 여행용 세트 판매량은 2.3% 증가하는 데 그쳤다. 대신 주류(18.8%), 도시락(14.4%), 가정간편식(20.5%) 매출은 눈에 띄게 늘었다.

이런 현상은 지난해 11월 '위드 코로나' 시행과 지난해 12월 거리두기 재강화 때도 반복됐다. 11월 한 달간 숙취해소제(28.4%)와 여행용 세트(22.6%) 매출은 늘었지만, 주류(-5.4%)는 매출이 줄었다. 도시락(1.6%)과 가정간편식(4.2%) 매출도 저조했다. 반면 12월에는 주류(17.7%), 도시락(10.8%), 가정간편식(15.7%)은 매출이 늘었다. 숙취해소제 매출은 6.9% 감소했고, 여행용 세트 매출은 4.4% 증가하는 데 그쳤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