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인적자원 경쟁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하위권으로, 인적자원 개발과 혁신에 대한 투자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9일 유럽경영대학원(INSEAD)의 '2021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지수'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한국의 인적자원 경쟁력은 24위로 중하위 수준에 그쳤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해외인력 유입·여성인력 고용 등을 측정하는 '매력도'(Attract) 순위는 33위, 직업교육·직업능력 개발 등 인재 성장 가능성을 측정하는 '성장성'(Grow)은 25위, 노동생산성 등 '직업·기술 역량'(VT Skills)은 28위 등으로 대체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각 부문의 세부 지표도 이와 비슷했다. 매력도 부문에서 고등교육 해외 유입률이 2.8%로 33위에 그쳤고, 고숙련 일자리 가운데 여성 근로자 비율도 27위로 낮았다.
성장성 부문에서는 고등교육 1인당 정부지출 규모가 5773달러로 OECD 37개국 가운데 31위에 불과했다. 1위 룩셈부르크(4만5567달러), 2위 스위스(2만5713달러) 등과 비교해 볼 때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직업 인재 양성을 위한 15∼24세 인구의 직업교육 등록률은 22위(14.3%)였고, 근로자 역량개발 정도를 점수화해 평가한 항목에서는 23위(59.64점)를 기록해 교육 뿐 아니라 실제 직업역량 개발도 부진했다.
인적자원 혁신 결과를 나타내는 종합지표 '직업·기술적 역량' 부문의 하위 지표인 '스킬 매칭 정도'에서 한국은 비교 가능한 OECD 30개국 가운데 30위였으며 노동생산성에서도 38개국 가운데 22위로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전경련은 교육과 직업 간의 미스매칭이 크고, 노동생산성이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한국의 경우 미래지향적 인적자원 혁신 정책보다 고용유지 등에 비중을 두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인적자원의 개발 및 혁신 투자보다 직접 일자리 창출 등과 같은 '현상 유지 전략'에 치중해온 지금의 정책에 대한 혁신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