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감독과 코치, 상하관계가 아닌 동반자다.
최선의 결과를 만드는 지혜엔 위아래가 없다. 현장 총사령관인 감독이 판단의 최종 책임을 지지만, 선수와 보다 가까이서 호흡하는 코치 의견은 그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때문에 감독에겐 코치 의견을 경청할 수 있는 열린 마음이 필요하고, 코치는 그런 감독에게 직언을 아끼지 않는 배포가 요구된다. '관계'는 팀을 옳은 방향으로 이끄는 성공의 필수공식이다.
올 시즌 선두 SSG 랜더스를 이끄는 김원형 감독(50)에겐 든든한 동반자가 함께 한다. 감독 출신으로 SSG 벤치 코치를 맡고 있는 조원우 코치(51)가 주인공이다.
김 감독과 조 코치는 쌍방울 레이더스, SK 와이번스에서 동료이자 선후배로 한솥밥을 먹었다. 지도자로 변신한 뒤에도 인연은 이어졌다. 김 감독은 조 코치가 2017년 롯데 자이언츠 지휘봉을 잡은 뒤 간곡한 요청을 뿌리치지 못하고 친정팀 SK를 떠나 롯데 수석코치직을 맡기도 했다. 조 코치가 2018시즌을 마치고 롯데를 떠난 때 김 감독도 미련 없이 돌아섰다. 지난해 김 감독이 SSG 지휘봉을 잡은 뒤 조 코치가 퓨처스(2군)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후반기부턴 조 코치가 감독직을 내려놓고 1군에서 벤치 코치 역할을 맡으며 김 감독을 보좌했다.
감독 출신 코치의 존재는 사령탑 입장에선 부담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하지만 김 감독은 "(조 코치는) 내가 못 보는 것들을 볼 수 있다"며 고개를 저었다. 그는 "내가 현장에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감독 경험을 바탕으로) 의견을 쉽게 주고 받을 수 있다"며 "비슷한 생각이라면 결정이 그만큼 쉬워지고, 결이 다르다면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계기도 된다"고 했다. 또 "좋은 피드백 뿐만 아니라 때론 냉철하게 이야기를 해주기도 한다. 훈련 때도 많은 조언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조 코치 뿐만 아니라 김민재 수석 코치(49), 조웅천 투수 코치(51) 등 SSG 벤치에는 김 감독이 만든 관계들이 촘촘히 자리 잡고 있다. 선수를 다독이고 감독을 보좌하며 원팀을 만들어가는 이들의 활약은 SSG가 승패마진 +40의 엄청난 페이스를 가져가는 중요한 동력이다.
당장의 득실이 아닌 실리와 원팀에 초점을 맞춘 사령탑의 결정은 기대 이상의 시너지를 만들어 냈다. '관계의 믿음'이 증명한 성공 스토리다.
광주=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