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국내 최초 조혈모세포이식 1만례 달성

by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이 최근 국내 최초로 조혈모세포이식 1만례를 기록했다.

1983년 김춘추 교수에 의해 국내 최초로 동종조혈모세포 이식을 성공시킨 후, 다양한 조혈모세포이식술의 국내 최초 기록을 만들어 온 혈액병원은 그동안 다른 국내외 대학병원 등 3차 의료기관에서 의뢰한 환자들이 몰려 '혈액암의 4차 병원'으로 인식되어 왔다.

1985년 자가조혈모세포이식 성공에 이어, 타인 조혈모세포이식(1995년), 제대혈이식(1996년), 비골수제거조혈모세포이식(1998년), 혈연간 조직형 불일치 조혈모세포이식(2001년) 등을 국내 최초로 성공시켰다. 2002년에는 세계 최초로 만성골수성백혈병과 간경변증을 동시에 갖고 있는 환자에서 조혈모세포 이식후 간이식을 성공했고, 2012년 신장 및 조혈모세포이식을 동시에 이식하는 등 고난도 치료를 선도해왔다.

또한 조혈모세포 이식 후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2010년 종양항원 특이 세포독성 T-세포(CTL 세포치료), 림프종에서의 자연살해세포 치료법을 임상에 적용해 첨단 면역치료법의 개발에도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혈액병원은 전세계적인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혈액암 환자를 위한 조혈모세포이식 치료를 지속해왔으며, 지난해 12월 역사적인 1만례 이식에 성공하는 쾌거를 이뤘다.

혈액병원은 전국 전체 조혈모세포이식의 약 20%(2019년 21.5%, 2020년 19.7%, 2021년 18.2%)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자가 이식에 비해 난이도가 높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건수가 전체 이식의 74.2%(2022년 12월 누적 총 7433건 : 제대혈 이식 329건, 가족사이 절반일치이식 1196건, 비혈연이식 2508건, 형제이식 3400건)를 차지한다.

2021년 기준 국내 빅5 병원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건수 중 서울성모병원이 42.9%(431건)를 차지해, 이식 규모와 난이도 등 양과 질 모든 면에서 현격한 차별화를 보이고 있다.

이식 건수를 질환별로 살펴보면, 급성골수성백혈병이 3315건으로 가장 많고 급성림프모구백혈병 1796건, 다발골수종 1286건, 재생불량빈혈 990건, 골수형성이상증후군 783건, 비호지킨 림프종 765건, 만성골수성백혈병 472건, 골수증식종양 119건, 기타 491건 등으로 나타났다.

김희제 혈액병원장은 "이번 서울성모병원 가톨릭혈액병원의 기념비적인 단일기관 1만례 조혈모세포이식 성취는 우리나라 선진 이식의학 분야의 발전을 주도한 찬란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더불어 지난 40년 동안 선구자적 희생과 봉사의 열정을 아낌없이 바치신 선후배 의료인들과 한 마음으로 일치해 도와주신 우리 기관 모든 분들의 각고의 노력과 헌신 그리고 난치 혈액질환 극복을 위한 끊임없는 연구개발 정신을 계승하는 오랜 시간 동안 흘린 우리 각자의 소중한 피와 땀을 통해 이뤄진 역사에 길이 남을 생명탄생의 신비 그 자체였음에 모든 분들에게 진심으로 고개 숙여 감동과 감사의 인사를 깊이 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미래지향적인 최첨단 의료기술의 발전과 함께 아픈 육체와 마음까지도 치유하시는 그리스도의 정신을 길이 고양하고 더욱 더 치유의 기쁨을 크게 전달하는 혈액질환 치료의 세계적인 전문치료메카로 거듭나겠다다"고 덧붙였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