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원의 주머니가 두둑해지고 있다. 5대 시중은행 은행원의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돌파했다. 상위 10%의 경우 평균 연봉은 2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실적 확대에 따른 성과급도 두둑하게 지급될 예정이다. 고금리 속 가계, 기업이 어려운 상황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일각에선 예대금리차가 커지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이자 장사로 돈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5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받은 주요 시중은행 총급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5대 시중은행(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의 직원 평균 총급여(성과급 포함)가 1억을 돌파했다. 국민은행이 1억107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 1억529만원, 하나은행 1억525만원, 우리은행 1억171만원, 농협은행 1억162만원이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은 총급여 외에도 총급여 중위값이 1억원을 넘었다.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9670만원, 9636만원이었다. 총급여와 차이가 크지 않다.
총급여 중위값은 연봉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있는 사람의 총급여를 말한다. 총급여와 총급여 중위값의 차이가 적은 것은 소득 상위 직원이 전체 평직원 평균 연봉을 끌어올린 게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소수의 초고액 연봉자가 평균연봉을 끌어올리며 나타날 수 있는 통계의 함정과 거리가 멀다는 얘기다.
물론 5대 시중은행 직원 중 고액 연봉자가 없는 것은 아니다. 2021년 상위 10%의 평균연봉은 2억원에 근접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국민은행이 1억978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은행(1억9553만원), 신한은행(1억9227만원), 우리은행(1억8527만원), 농협은행(1억7831만원)이 뒤를 이었다.
5대 시중은행의 2022년 직원의 평균 급여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기본적인 임금인상률 외에 지난해 최대 실적을 거둔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성과급 지급 규모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농협은행의 경우 기본급(통상임금) 대비 성과급 지급 비율을 2021년 350%에서 2022년 400%로, 신한은행은 2021년 300%에서 2022년 361%(우리사주 61% 포함)로 올리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성과급 비율을 300%에서 280%로 내렸지만 특별격려금 340만원을 지급하기로 한 만큼 실제 직원이 받는 금액은 오히려 늘었다.
정치권 일각에선 시중은행의 성과급 잔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해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이자 수익은 6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1년 51조원과 비교하면 30%가량 늘어난 금액이다. 예대금리차가 커진 만큼 대출금리 확대에 따른 이자 수익이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지난 12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정우택 국회부의장은 "예대 마진으로 돈방석에 앉은 은행들이 곡소리 나는 이자 폭탄 고통은 외면한 채 점심시간 영업중단 등 고객 서비스는 축소하며 성과급으로 '돈 잔치'를 벌인다면 국민 분노와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금융당국도 은행권의 성과보수 체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임원 회의에서 "은행의 성과보수 체계가 단기 성과에 너무 치우쳐 중장기적으로 내부통제 및 리스크관리 소홀, 금융사고 발생 등 문제점이 초래되지 않도록 은행권과 함께 성과보수 체계의 개선 노력도 지속해달라"고 주문하면서, "고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하강 우려도 커지면서 서민경제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그간 충실한 자금 중개 기능을 통해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은행권과 함께 감독당국이 서민경제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한 바 있다.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