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대한비뇨의학회 '전립선비대증 오해와 진실' 동영상 공개

by

대한비뇨의학회(회장 홍준혁)은 남성들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해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오해와 진실' 동영상을 제작해 학회 유튜브 채널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동영상에는 류재현 중앙보훈병원 비뇨의학과 과장이 참여해 전립선비대증의 진단, 증상, 유병률, 치료법 등에 설명을 하는 한편, 전립선비대증과 관련해 평소 환자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에 대해 답변을 제공한다.

류재현 과장은 "전립선비대증은 중장년 남성들을 괴롭히는 만성 비뇨계 질환으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요로감염, 방광결석을 비롯해,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서 요의가 있음에도 소변을 볼 수 없는 상태인 '급성 요폐'가 나타날 수 있다"며, "급성 요폐가 빨리 해결되지 않는 경우 요로계 파열이 발생할 수 있어 이런 상황에서는 반드시 응급실에 방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하지 않아 만성화되면 2차적으로 방광이 망가지는데, 이 경우에는 비대해진 전립선을 수술한 후에도 배뇨장애가 지속될 수 있으므로 너무 늦지 않게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립선비대증의 치료는 크게 대기요법, 약물치료,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전립선비대증의 1차 치료법은 약물치료로, 현재 주로 처방되는 치료제에는 수일 내 증상 개선을 보이기 시작하는 약도 있고, 수개월에 걸쳐 커진 전립선을 작게 만드는 약도 있다. 수술을 받는 경우 약물치료를 중단해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립선이 조금씩 다시 커지고 일부 증상은 수술 후에도 남아있기 때문에 약물치료를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대한비뇨의학회 박현준 홍보이사(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전립선비대증은 환자마다 증상과 원인에 상당한 차이가 있고, 연령이나 건강상태, 치료 선호도에 따라 접근을 달리 해야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따라서 배뇨 시 불편함이 발생한다면 비뇨의학과 전문의를 찾아가 정확한 진단을 받고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