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법 제정안 등의 국회 통과에 반발하고 있는 보건복지의료연대가 3일과 11일 연가와 단축 진료 등 집단 행동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또한 간호법 재논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오는 17일 연대 총파업을 하겠다고 전했다.
대한의사협회, 대한간호조무사협회 등 13개 보건의료단체가 참여한 보건복지의료연대는 2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투쟁 계획을 발표했다.
보건복지의료연대는 "앞서 파업 등 단체행동에 관한 의사협회 설문조사에서 개원의, 봉직의, 전공의, 교수 등 전 유형에 걸쳐 찬성률이 83% 이상으로 나타난 바 있다"면서 "그만큼 의료악법들에 대해 반발하고 저항하는 의료계 여론이 매우 높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의료공백으로 인한 환자들의 불편과 우려를 감안해 오전 위주로 진료를 하고 늦은 오후에 집회를 여는 방식으로 연가 투쟁을 하기로 했다.
보건복지의료연대에 따르면 우선 3일에는 연가나 단축진료를 하고 전국적인 대규모 집회를 할 예정이다. 이날 오후 전국 각 시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간호법·면허박탈법 강행처리 더불어민주당 규탄대회'를 개최한다.
여기엔 의사, 간호조무사, 방사선사, 응급구조사, 임상병리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요양보호사 등 관련된 직역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서울지역의 경우 이날 오후 5시30분 국회의사당역 앞에서 집회가 열리며, 각 지역에서 같은 제목의 규탄대회를 열 계획이다.
이미 간호조무사들이 연가투쟁을 선언한 바 있어, 의사들도 이에 부응한다는 방침이다.
박명하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장은 "3일 집단행동이 파업의 1단계라고 할 수 있다"며 "다만 환자와 국민 여러분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급적 시간대를 늦은 오후로 잡았다"고 설명했다.
보건복지의료연대 이어 11일에도 전국 동시다발 2차 연가투쟁 및 단축진료를 계획하고 있다.
이같은 단체 행동에도 재논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오는 5월 17일 400만 연대 총파업 등 수위 높은 투쟁을 불사할 예정이라고 보건복지의료연대는 강조했다.
박명하 위원장은 "그간 1년 이상 계속해온 국회 앞 릴레이 1인 시위의 장소를 용산 대통령실 앞으로 옮겨 이어나갈 예정"이라며 "13개 단체가 대통령실 앞에서 1인 시위로 간호악법의 재논의를 강력히 주장하고 호소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간호법은 간호사에게만 특혜를 주고 여타 힘없고 소수인 직역들을 말살하고 피눈물 나게 하는 악법"이라면서 "약자를 위한 정치를 펼친다는 거대야당의 이중적 행태에 많은 국민들이 납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여러 직역들의 피와 땀으로 지켜온 의료체계가 불필요하게 발생된 현재의 직역 갈등으로부터 빠른 시간 내에 봉합되기를 바라며, 의료인 모두가 함께 만들어 온 의료체계가 한순간에 무너지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호소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