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회복으로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어린이 안전사고도 덩달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어린이 안전사고는 2만1642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1년(1만5871건)보다 36.4% 증가한 것으로, 전체 안전사고의 27.5%를 차지했다. 어린이 안전사고는 2019년 2만4971건, 2020년 1만8494건으로 감소세에 있었다.
지난해 발달단계별 안전사고 건수를 보면 걸음마기(1∼3세)가 8235건(38.1%)으로 가장 많았다. 학령기(7∼14세) 6196건(28.6%), 유아기(4∼6세) 4822건(22.3%), 영아기(0세) 2389건(11.0%) 순이었다.
발생 장소별로는 주택이 1만4219건(65.7%)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는 도로 및 인도 1598건(7.4%), 교육시설 1127건(5.2%), 여가문화 및 놀이시설938(4.3%) 등이었다.
특히 일상 회복으로 전년 대비 교육시설(110.3%)과 스포츠·레저시설(138.3%) 등에서 발생 건수가 크게 증가했다.
사고 유형은 미끄러짐·넘어짐·부딪힘(8017건·37%)과 추락 사고(5274건·23.4%)가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소비자원은 "영아·걸음마기는 주변환경의 영향, 유아·학령기는 환경과 행동적인 특성이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며 "성장시기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교육이 꾸준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