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이 가장 희망하는 전문과목으로 내과, 정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가 순서대로 꼽혔다. 반면 '내·외·산·소' 4개 메이저 과 중 내과를 제외한 3개 과를 희망하는 의대생은 5.6%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스태프는 최근 의대생 회원 285명을 대상으로 '졸업 후 진로'를 주제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87%가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들이 가장 희망하는 전공으로는 내과가 17%, 정형외과가 14.2%로 가장 많았으며, 마취통증의학과(7.3%), 정신건강의학과(6.9%)가 뒤를 이었다.
반면, 메이저 과 중 내과를 제외한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를 희망하는 의대생은 모두 합해 5.6%에 불과했다. 특히 예방의학과, 핵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등을 희망하는 의대생은 전무했으며, 또다른 기피과인 심장혈흉부외과를 희망하는 학생은 0.8%에 그쳤다. '바이탈 과'를 기피하는 분위기는 아직도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이 해당 전공을 선택한 이유로는 '적성에 맞거나 흥미롭기 때문에'라는 답변이 49%로 가장 많았고, '경제적으로 유망하기 때문에'(19.5%), '예전부터 꿈꿔왔기 때문에'(16.2%)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지 않겠다고 답한 의대생들은 그 이유로 '전문의가 되기 위해 수련 받는 시간이 아깝다'를 39.5%로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는 '전공의 과정이 힘들 것 같다'(15.8%), '전문의가 된다고 해서 더 소득이 많을 것 같지 않다'(13.2%), '해외에서 의사 생활을 하고 싶다'(10.5%), '의료 소송 등에 노출될 위험을 줄이고 싶다'(7.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군 복무를 앞둔 의대생들의 경우, 공중보건의사나 군의관으로 복무하겠다는 의견이 절반에 그쳤다. 군 복무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군의관 또는 공중보건의사가 50%, 현역이 39%, 카투사 등 기타가 11%를 차지했다. 실제로도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가 아닌 일반 사병으로 입대하는 경우가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의대생들이 현역으로 입대하고자 하는 이유로는 "복무 기간이 너무 길다"라는 의견이 89.6%를 차지했다. 이들은 "복무 기간이 2배 차이 나기도 하고, 현역의 급여가 크게 올라 진입 장벽이 낮아졌다", "현역의 복무 기간은 절반 이하로 같은 기간 기대 소득이 2배 정도 차이 난다", "군 문제를 빨리 해결하고 싶다", "시간을 단축해 다른 경험을 해보고 싶다" 등의 이유로 일반 사병 입대를 선호했다.
메디스태프는 앞으로도 의사, 의대생 회원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해 이들에게 걸맞은 서비스 개발은 물론 더 나은 헬스케어와 의료 현장을 만들어 가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한편, 메디스태프는 지난 8월 설문조사 서비스를 론칭한 바 있으며, 오는 10월 중 최대 화두인 의대 정원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해, 의료계 내부 목소리를 모아볼 예정이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