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통계청 "우리나라 인구구조, 저출산·고령화 '최악의 경로' 현실화 진행 중"

by

통계청이 역대 장래인구추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인구구조가 최악의 시나리오를 따라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지난주 발표된 2022~2072년 장래인구추계에서 2072년 중위 추계 총인구를 3622만명으로 예측했다. 저위 추계에서 총인구는 3017만명으로 2000만명대 추락을 눈앞에 두게 된다. 통계청은 중립적인 '중위 추계'를 기준으로 낙관적(고위 추계)·비관적(저위 추계) 시나리오를 함께 제시한다.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0~2060년 인구추계'에서 2022년 합계출산율로 중위추계 1.37명, 저위추계 1.00명을 각각 전망했다. 그러나 실제 2022년 출산율은 0.78명으로 집계돼 가장 비관적인 전망치에도 미치지 못했다.

출생아수도 비관적 경로를 따라갔다. 2010~2060년 인구추계에서 2022년 출생아수를 중위추계 45만명, 저위추계 32만명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2022년 출생아는 24만6000명에 그쳤다.

이와 달리 고령화 추세는 예상 범위를 뛰어넘어 가파르게 진행됐다. 2010~2060년 인구추계에서 2022년 65세 이상 연령층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저위추계 17.1%, 중위추계 17.2%, 고위추계 17.3%로 각각 예측됐다. 2022년 실제 수치는 17.4%로 더 높았다.

출산율 저점은 중립 전망에서 조만간 반등할 것이라는 예상치를 제시했지만, 가장 늦은 전망치가 현실화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번 2022~2072년 인구추계에서는 중위 저점으로는 2025년 0.65명, 저위 저점으로는 2026년 0.59명을 각각 제시했다.

극단적인 저출산·고령화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과 비교해도 확연하다. OECD 38개국 기준으로, 한국의 출산율은 2022년(0.78명)부터 2072년(1.08명)까지 최하위를 지키게 된다. 출산율 1.0명을 밑도는 국가로는 한국이 유일하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072년 47.7%까지 치솟으면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게 된다. 2072년 한국을 제외하고 고령자 비중 40%를 웃도는 국가는 없을 것으로 예상됐다.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