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고령화 시대에 관절 질환은 노령층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다. 특히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퇴행성 관절증의 진료 환자 수는 2020년 382만여 명에서 2023년 433만여 명으로 늘었다. 이런 가운데 인공관절 수술은 관절염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며 널리 시행되는 추세다.
하지만 '수술 후 통증이 더 심하다', '인공관절의 수명이 짧다' 등의 잘못된 정보들로 인해 환자들이 제때 수술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센텀종합병원 정형외과 관절센터 이운성 진료부장과 박재홍 과장의 도움말로 '인공관절 로봇수술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정리했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늦게 할수록 좋다?
▶인공관절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절한 임플란트의 선정, 수술의 정확도 그리고 재활 및 적절한 사후 관리이다.
로봇수술이 등장한 이후 수술 결과가 좋아져 최근에는 20~30년 이상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히려 너무 늦게 하게 되면 결과가 불량한 경우가 있어 65~70세에 하는 것이 권장된다.
-인공관절 수술을 하면 다리가 구부러지지 않는 뻗정다리가 된다?
▶기존에는 수술 후 재활 및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굴곡 각도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일명 '뻗정다리'라고 불리는 불량한 결과가 아주 일부에 있었다. 하지만 최근 수술 기법 및 임플란트 디자인이 향상되었고, 특히 인공관절 로봇수술 이후 재활과 회복이 빠르게 되면서 수술 이후 2주 정도가 되면 관절이 다 펴질 수 있다.
-인공관절 수술은 너무 늙으면 못 한다?
누구나 나이가 들면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뇌혈관, 심근경색 등 전신질환의 빈도는 증가하기 마련이다. 이 때문에 수술 후 기능 회복 및 합병증의 위험도 젊은층에 비해 높을 수 있지만 인공관절 수술 여부는 단순히 신체 나이보다 본인의 전신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수술 전에 전문의 진료를 통해 평가를 받는 게 필요하다. 수술 전후 적절한 평가와 관리만 이뤄진다면 대부분의 경우 안전하게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센텀종합병원 관절센터 박재홍 과장은 "인공관절 로봇수술은 단순히 수술 기법의 발전을 뛰어넘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면서 "로봇수술은 정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높여서 환자의 부담을 줄이고 빠른 회복을 도와준다"고 강조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