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류동혁 기자] 도대체 토트넘 축구의 정체성은 뭘까.
엔제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리버풀전에서 완패한 뒤 현지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우리의 정체성과 강점에 맞게 플레이하지 않고 도전을 피했다는 것'이라고 했다.
토트넘은 리버풀 원정에서 참패했다. 잉글랜드 카라바오컵(리그컵)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7일(이하 한국시간) 영국 리버풀 안필드에서 열린 2024~2025시즌 카라바오컵 준결승 2차전에서 리버풀에 0대4로 완패했다.
1차전에서 1대0으로 승리를 거둔 토트넘은 이날 무승부만 기록해도 결승에 오를 수 있었지만, 결국 4강 탈락. 2007~2008시즌 리그컵 우승 이후 우승컵이 없는 토트넘이다.
영국 BBC는 7일 리버풀에 참패한 뒤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이 매체는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힘든 밤이었고 리버풀이 너무나 잘 싸웠다고 말했다'며 '리버풀은 초반부터 주도권을 잡았고, 우리는 그대로 끌려갔다. 2실점 이후 경기력이 올라설 수 있었지만, 결국 그렇게 하지 못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우리의 정체성과 강점에 맞지 않게 플레이했다는 점이었고 덧붙였다'고 했다.
이날 토트넘은 형편없이 밀렸다. 객관적 전력의 차이가 있었다. 이 부분을 고려해도 경기력은 너무나 좋지 않았다.
손흥민이 후반 33분 위력적 왼발 슈팅으로 골대를 강타하기도 했지만, 이날 유효슈팅은 거의 없었다. 반면 리버풀은 10개의 유효 슈팅 중 4골을 넣으면서 절정의 골 결정력을 과시했다. 슈팅 숫자 자체가 25대6, 절대적 우위었다.
문제는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준비 방식이다. 이날 토트넘은 후방 센터백 듀오 크리스티안 로메로, 미키 판 데 펜이 없었다. 드라구신도 부상이었다. 주전 골키퍼 비카리오도 결장했다.
후방의 취약점은 분명히 있었다. 단, 공격에 초점을 맞출 것인지, 수비를 강화한 뒤 역습을 할 것인 지에 대한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중원에서 주도권을 완전히 내줬고, 공수의 연결점은 찾기 힘들었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이 말한 정체성은 적극적 공격과 거기에 따른 도전의식을 의미한다. 하지만, 항상 추상적이고 부상에 대한 대안은 없다. 이 상황에서 정체성과 도전의식을 말하는 것은 너무 아마추어적이다.
리그 최고의 무대와 어울리지 않는 추상적 접근 방식이다. 토트넘은 정체성을 잃어 버린 지 오래다. 과감한 공격적 성향의 엔지 볼은 상대에 파악된 지 오래다.
예를 들어 지난 시즌 뉴캐슬의 경우 5백을 사용해, 토트넘의 핵심 사이드 돌파를 막은 뒤 역습하면서 대승을 거뒀다. 사이드에 공간을 내주지 않았고, 손흥민 등 핵심 공격수들은 스페이싱 부족 현상으로 고립됐다. 즉, 엔지 볼의 실체는 이미 드러났다. 하지만, 여전히 변화는 없다. 수비에 대한 대안도 부족하다.
리버풀전 완패는 당연한 결과였다. 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