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계절(10월 17일~4월 15일)에 잉태된 사람이 갈색 지방 조직(BAT:brown adipose tissue)이 더 활발해 비만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처 메타볼리즘(Nature Metabolism)에 발표된 일본 도호쿠대 요네시로 다케시 교수팀의 연구 결과다.
연구팀이 3~78세 남녀 683명을 대상으로 BAT 밀도와 활동성·열 생성 등을 분석하고 BMI와 내장비만 등을 비교한 결과, 잉태 시점이 추운 계절인 경우 에너지 소비가 많고 체질량지수(BMI)가 낮으며 내장비만 가능성도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갈색 지방은 철분이 풍부한 미토콘드리아가 다량 포함돼 갈색으로 나타나는데, 미토콘드리아는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추운 날씨에 노출되면 에너지를 태워 체온 유지를 돕는 갈색 지방 조직의 활동이 활발해져 백색 지방 형태로 저장되는 지방은 줄게 된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갈색 지방 조직 밀도·활동성, 열 생성을 분석하고, 출생일을 기준으로 수정 시점을 추정해 부모가 잉태·출산 기간에 노출된 춥거나 따뜻한 기온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잉태 시점이 추운 계절인 사람은 더운 계절(4월 16일~10월 15일)인 사람에 비해 갈색 지방 조직의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운 계절에 잉태된 사람 중에서 고활성 BAT를 가진 사람의 비율이 78.2%였으나 더운 계절에 잉태된 그룹은 66.0%만이 BAT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출생 시점의 계절은 BAT 유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추운 계절에 잉태된 사람은 따뜻한 계절에 잉태된 사람보다 갈색 지방 조직의 활성이 높아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BMI가 낮으며 내부 장기 주변에 지방이 축적될 가능성이 작았다고 설명했다. 또 이 결과는 잉태 전 기간의 낮은 외부 온도와 큰 일교차가 자녀의 갈색 지방 조직 활성을 결정하는 요인임을 보여준다며 이는 잉태 시점의 기상 조건이 자녀의 생리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한편, 온도 외에도 매운 음식 속 캡사이신, 녹차의 카테킨, 오메가-3 지방산 등이 갈색 지방 활성화를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갈색 지방은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예방과 치료 가능성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