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전략기술 확보 민관 고위협력채널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 출범

by


R&D확대·인재양성 등 논의…9월 서밋서 '주도권 확보 공동방안' 발표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국가전략기술 기반 과학기술 주권 확보를 위해 산학연 최고위 인사가 모여 논의하는 국가전략기술 협력체계가 출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국가전략기술 주요 기업, 대학, 연구기관 대표가 참여한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를 열었다고 밝혔다.
미래대화에는 구자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회장을 비롯해 LG사이언스파크 정수헌 대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손재일 대표, CJ바이오사이언스 천종식 대표, 포스코홀딩스 김기수 미래기술연구원장, 두산에너빌리티 김종두 사장, 삼성전자 김현우 부사장, 네이버클라우드 곽용재 최고기술책임자(CTO) 등 산업계 인사가 참여했다.
서울대 유홍림 총장,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광형 총장, 포항공대 김성근 총장 등 학계 인사를 비롯해 정부출연연구기관, 정부 부처 인사들도 참여했다.
이번 미래대화에서는 차세대 성장동력 및 국가 아젠다 발굴, 인재양성, 제도개선 등을 산학연과 정부가 공동 추진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참가자들은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정부 연구개발(R&D) 투자 확대뿐 아니라 기업이 연구기관과 긴밀하게 협업해 전략기술을 사업화할 필요가 있다고 논의했다.
또 민간 적극 투자를 위해 정부가 투자 여건을 만들고 대학과 연구기관이 기술개발 및 인재 양성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인재양성 분야에서는 종합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핵심 분야 인재 풀 확대 등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실패를 용인하는 장기적 R&D 지원체계와 대학 연구소의 규제 자유지역 지정 등도 논의됐다.
과기정통부는 '제5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에 기술 분야 및 산업별로 인재가 빠르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세계 최고 인재를 유치하는 방안을 담기로 했다.
또 참여기관 및 관계부처로 구성된 미래대화 실무추진위원회를 통해 논의된 사항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논의된 사항을 담은 '과학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공동방안'을 9월 말 '국가전략기술 서밋'을 통해 발표하고 추진사항도 공유하기로 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재를 키우고 우수 인재 이탈은 막되 세계 최고의 인재가 유입되는 인재 생태계를 구현하고, 국가전략기술 우수 성과가 신속하게 사업화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과기정통부는 미래대화 후 국가전략기술 확인서 수여식을 열어 지금까지 국가전략기술 보유 및 개발이 확인된 6개 기업에 확인서와 현판을 수여했다.
shj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