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분통 터뜨린 꽃감독의 거센 항의…이유는? 피치클락 '허점' 뚫렸나 [부산초점]

by

[부산=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 피치클락 규정의 허를 찌른 걸까. 아니면 정상적인 요청과 판정일까.

2025년부터 KBO리그에 피치클락 규정이 정식으로 도입됐다. 투수는 주자 없을때 20초, 있을때 25초 안에 공을 던져야 한다. 포수는 잔여시간 9초 이전에 포수석에 자리 잡아야하고, 타자는 8초가 되기 전에 타격 준비를 마쳐야 한다. 타자의 타임 횟수는 타석당 2회로 제한된다.

하지만 메이저리그(15초, 18초) 대비 피치클락 시간이 길고, 투수판 이탈(견제 등) 횟수 제한 규정이 없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돼왔다. 투수들 입장에서 보면 기본적으로 공을 던지는 타이밍 면에서 압박은 받지만 당황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발을 풀면 피치클락이 리셋된다.

9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 KIA 타이거즈의 경기. 현역 사령탑이 피치클락 문제로 주심에게 거세게 항의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KIA가 3-1로 앞선 5회초 1사 위즈덤 타석. 볼카운트 3B2S 상황에서 포수 정보근이 손을 들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리고 심판은 타임을 선언했다. 피치클락은 4초 남아있었다.

이때 이범호 KIA 감독이 그라운드로 걸어나왔다. "피치컴을 안 쓰는데 안 들린다고 하잖아. 4초 남았는데…"라는 목소리가 방송 마이크에 담길 정도였다.

이날 롯데 나균안-정보근, KIA 네일-김태군 배터리는 피치컴 대신 손으로 사인을 주고받고 있었다. 따라서 이범호 감독의 주장은 해당 타임은 투·포수의 고의적인 시간 지연, 피치클락 초기화를 의도한 행동이고, 심판이 볼을 판정해야한다는 것.

강한 확신을 갖고 나선 항의인 만큼 시간이 길어졌다. 약 4분 가량 항의가 이어졌다, 중계진이 "이례적으로 강하게 말하는 모습"이라고 표현할 정도였다.

결국 4심 합의가 이어졌다. 하지만 심판진은 롯데 배터리의 동작이 피치클락 규정에 문제되는 행동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KIA 구단 관계자는 "주심은 포수의 타임 요청을 받아들였다고 해명했다"고 전했다. 피치클락 규정상 타자의 타임 횟수는 타석당 2회로 제한돼 있지만(3번째 요청시 스트라이크 선언), 배터리는 타임 요청에 제한이 없다.

피치클락 내 '포수의 수비 사인' 규정을 보면 "포수는 피치클락에 9초 이상 남아있을 ‹š 포수석을 벗어나 수비 사인을 보낼 수 있고, 이때 계측은 중지된 뒤 25초로 재설정된다. 9초 미만일 때는 심판에게 타임을 요청하고, 그 타임이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돼있다.

주심은 이 규정을 들어 '포수가 타임을 요청했고, 그 요청이 받아들여졌을 뿐이다. 규정에 문제없는 행동'이라고 설명했다. KBO 측 역시 "향후 따로 현장의 설명을 들어봐야겠지만, 일단 현재까지의 정황을 보면 주심의 판정에 문제가 없다"고 답했다.

부산=김영록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