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MBN '현역가왕2'를 둘러싼 불공정 논란이 끝났다.
'현역가왕2' 제작사인 크레아스튜디오는 10일 프로그램과 관련한 민원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 처리 결과를 전달했다.
'현역가왕2'는 신유와 박서진의 예선 없는 본선 직행, 신유의 본선 무대 피처링 특혜, 신유 팬카페의 결승전 방청권 정보 스포, 환희 소속사와 연관된 투자자가 11억원을 투자했다는 의혹 등으로 몸살을 앓은 바 있다.
그러나 공정위는 4가지 사안에 대해 모두 위법 사항을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제작진은 "신유와 박서진의 본선 직행은 프로그램의 긴장감과 흥미를 극대화 하기 위한 '미스터리 현역' 콘셉트의 일환으로 핸디캡도 부여했으므로 불공정했다고 볼 수 없다. 신유의 '러브스토리' 피처링은 원곡을 그대로 살리기 위한 구음으로 특혜가 없었다. 마지막 결승전에 참가자의 가족과 지인을 초대하는 것은 모든 경연 참가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제안된 부분이며 이들은 투표권이 전혀 없어 결과에 어떠한 영향도 미친 바 없다. 환희 소속사와 콘서트 투자는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은 '현역가왕2' 측 입장 전문.
안녕하세요. <크레아스튜디오>입니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기된 '현역가왕2' 관련 민원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 처리 결과를 전합니다.
크레아스튜디오는 '현역가왕2'와 관련 공정거래위원회에 제기된 4가지 사안(참가자 신유, 박서진의 예선 없는 본선 직행의 불공정성, 신유의 본선 무대 피처링 특혜, 신유 팬카페에서 결승전 방청권 정보가 공유된 점, 참가자인 가수 환희 소속사와 연관된 투자사의 11억 원 투자 여부)에 대해 모두 위법 사항을 확인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첫째, 참가자 신유, 박서진의 예선 없는 본선 직행에 대한 불공정성을 민원 제기한 부분.
참가자 신유와 박서진의 본선 직행은 프로그램의 긴장감과 흥미를 극대화하기 위한 '미스터리 현역' 콘셉트의 일환이었습니다. 제작진은 공정성 확보를 위해 득점 차감, 국민 응원투표 기간 단축, 지목권 제한이라는 핸디캡을 부여했으므로 전혀 불공정했다고 볼 수 없습니다.
둘째, 신유의 본선 무대에 피처링 특혜를 줬다고 민원 제기한 부분.
신유는 '러브스토리'라는 곡을 발매했고, 발매 당시 국악인 박애리가 구음(口音)을 피처링했습니다. 구음은 음악적 장치로서 사용된 것이고, 경연 시 박애리가 아닌 김지현이 구음을 하였지만 달리 부르지 않은 이상 원곡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구음을 하는 것은 특혜가 있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셋째, 신유 팬카페에서 결승전 방청권이 지급됐다고 민원 제기한 부분.
마지막 결승전에 참가자의 가족, 지인을 초대하는 것은 모든 경연 참가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제안된 부분이며 이들은 투표권이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친 바 없습니다. 당시 제작진은 결승 진출 톱10 전원에게 결승전에 지인 및 가족 초대를 할 수 있다고 공지했습니다. 다만 신유 측에서 지인의 범위를 팬들까지로 오해해 팬카페에 잘못 정보를 공유했던 사안으로 신유의 팬들만 초대하려 했다는 것은 사실과 다릅니다.
넷째, 가수 환희 소속사와 연관된 투자자가 11억 원에 투자를 했다고 민원 제기한 부분,
환희 소속사(비티엔터테인먼트)와 콘서트 투자는 전혀 사실무근인 상황으로, 프로그램 공정성과 전혀 무관합니다.
'현역가왕2' 제작진은 그동안 제기됐던 불필요한 논란들에 대해 '공정위'가 결론 낸 아무 문제없음이라는 명확한 판단을 존중합니다. 더불어 앞으로 무차별적인 악플로 브랜드가치를 손상시키는 악의적 민원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법적인 책임을 묻겠습니다.
크레아스튜디오는 앞으로도 공정성과 형평성을 지키는 오디션 콘텐츠를 제작할 것입니다. 그리고 '현역가왕2' 멤버들과 총 14개 지역에서 진행될 '현역가왕2' 콘서트를 알차게 만드는 것에 더욱 매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백지은 기자 silk781220@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