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가정의학과 전문의 겸 사업가 여에스더가 뇌동맥류 투병을 고백한 가운데 해당 질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9일 유튜브 채널 '에스더TV'에서는 여에스더가 뇌동맥류 정기 검진을 받은 영상이 게재됐다.
여에스더는 2017년 일본 여행 당시, 머리에 묵직함을 느꼈다면서 "호텔 세면대가 낮아서 머리를 기울였는데 그때 오른쪽에 통증을 느꼈다. 뇌동맥류는 터질 때까지 증상이 없다. 한국에 온 후 친구가 있는 병원에서 뇌 MRA 찍었는데 6㎜짜리가 나왔다. 동기가 지금껏 본 뇌동맥류 중 크기가 제일 크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쟀을 때는 4㎜로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이어 "이렇게 유지하고 있다. 사람들이 무섭지 않냐고 하는데 공포영화, 번지점프 이런 건 무서운데 내 몸에 뇌동맥류가 있다는 건 무섭지 않다"면서 검사 결과에 대해 "변화가 없다고 나왔다"고 했다. 그녀의 투병 소식에 관심을 끌고 있는 뇌동맥류에 대해 발생 원인과 증상, 치료법 등을 정리했다.
◇발생 원인은?
뇌동맥류는 뇌동맥이 여러 원인에 의해 부풀어 올라 마치 꽈리 같은 열매가 달려있는 모양을 말한다. 뇌동맥류의 '류(瘤)'는 '혹'을 뜻하는데, 뇌동맥이 혹 모양 같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쉽다.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뇌혈관 벽이 약해지면서 미세한 균열이 생기거나 파열을 일으켜 뇌출혈을 발생시키는 초응급질환이다. 간혹 '시한폭탄'에 비유될 정도로 출혈 시 치명률도 높고 신경학적 후유증도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뇌동맥류 자체로 증상이나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뇌동맥류는 크기가 상당히 커지거나 파열될 때까지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스스로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비파열성 뇌동맥류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인원은 18만8596명으로 2013년 4만6387명 대비 약 3배 이상 늘었다. 연령별로는 60대가 35.7%로 가장 많고 70대 22.7%, 50대 22.6%, 40대 9.6% 순이다. 성별로는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2배 이상 많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외과 김동섭 교수는 "뇌동맥류는 50대 이상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폐경 이후 혈관을 보호하는 여성호르몬(에스트로젠)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며 "다만 20~30대 여성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적지 않고, 신장에 물혹이 생기는 다낭성 신질환 환자의 경우 뇌동맥류의 발생확률이 높아 반드시 뇌혈관검사를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뇌동맥류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혈류역동학적 원인 △감염 △외상 △자가면역질환 등 유전적 원인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뇌동맥류 가족력이 있다면 미리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두통만으론 뇌동맥류를 의심할 수 없지만 뇌졸중 가족력이 있거나, 40대 이상에서 만성 두통이 지속되거나 머리가 깨질 듯한 극심한 두통이 있을 때는 뇌동맥류의 가능성을 고려한다.
◇증상은?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뒷목이 뻣뻣해지거나 갑작스러운 의식 저하,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머리를 망치로 얻어맞은 듯한, 평생 경험해보지 못한 극심한 파열성 두통을 갑작스럽게 느끼게 된다는 점이다. 이는 뇌지주막하 공간으로 피가 한꺼번에 흘러나오기 때문이다.
파열 당시 극심한 두통을 느끼게 되면 대부분 즉시 응급실로 오게 되는데 이 경우는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다. 파열 시 뇌혈관이 받는 압력과 파열 부위의 크기에 따라 출혈량이 결정되고 출혈량이 너무 많으면 응급실에 도착하기도 전에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비파열성 뇌동맥류 환자의 경우 간혹 두통을 호소하기도 있지만 대부분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주로 건강검진 등을 통해 우연히 발견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내경동맥 원위부에 크기가 큰 뇌동맥류가 있다면 주변의 동안신경을 눌러 눈꺼풀이 커지거나 복시가 생기거나 동공이 커지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진단과 치료는?
진단은 뇌 컴퓨터단층혈관촬영(CTA), 뇌 자기공명영상혈관촬영(MRA), 뇌혈관 조영술로 한다. 최근에는 뇌 컴퓨터단층촬영이나 뇌 자기공명영상만으로 뇌동맥류를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기도 하지만, 아직은 뇌혈관 조영술에 가장 큰 비중을 둔다. 대퇴동맥 혹은 손목동맥에 카테터라는 관을 삽입해 뇌혈관을 확인하는 뇌혈관 조영술은 치료에 직접 이용되기도 하는데 일부에서는 수술만큼 많이 이용되는 치료법이다.
뇌동맥류는 위치와 크기에 따라 뇌출혈의 위험이 매우 낮다면 정기적으로 영상추적을 하며 관찰하기도 하지만 주로 수술을 통해 치료한다. 수술은 허벅지 대퇴동맥을 통해 작은 관을 뇌동맥류에 유치하고 백금코일을 넣어 치료하는 뇌혈관내코일색전술과 두개골을 절개해 뇌동맥류를 찾아 결찰(혈관을 묶거나 한 부분을 조이는 방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뇌동맥류 발생을 막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유전적인 원인일 경우 건강 습관만으로 발생을 막는 데는 한계가 있다. 다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환자와 흡연자에서 좀 더 위험하다는 보고가 있는 만큼 평상시 금연하고 당과 탄수화물, 콜레스테롤이 높은 음식의 섭취를 줄이는 건강한 식이요법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고지혈증약이 혈관의 염증 반응을 완화시켜 뇌동맥류 파열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