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SC현장] "처분 기다리겠다"..고윤정→강유석 업은 '언슬전', 의료파업 속 '청춘물' 선긋기(종합)

by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의료파업의 여파 속에서 공개를 확정한 '언슬전'이 의학 드라마보다는 청춘 드라마로 노선에 선을 그었다.

tvN은 10일 오후 서울 구로구의 한 호텔에서 새 토일드라마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김송희 극본, 이민수 연출, 이하 '언슬전')의 제작발표회를 진행했다. 행사에는 신원호 크리에이터, 이민수 감독, 고윤정, 신시아, 강유석, 한예지, 정준원이 참석했다.

'언슬전'은 언젠가는 슬기로울 의사생활을 꿈꾸는 레지던트들이 입덕부정기를 거쳐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담은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배경이 되었던 율제병원의 분원 '종로 율제병원' 소속 산부인과 레지던트들의 병원생활과 우정 이야기를 그릴 예정이다.

신원호 감독은 "크리에이터라고 하지만 책임자, 아빠 이런 느낌"이라며 "우리 애들 많이 예뻐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스핀오프는 처음 시도인데, 이전부터 저희 세계관을 확장하길 바라는 의견이 많았다"며 "각본을 쓴 김송희 작가가 이전부터 함께 작업을 했고, 산부인과를 배경으로 하고 싶다고 해서 세계관을 잇게 됐다. '슬기로운 의사생활'은 슬기로운 교수들의 더 슬기로운 과정을 담았다면, 이번엔 미흡한 청춘들이 슬기롭게 성장하게 되는 과정을 담을 거 같다"고 설명했다.

또 "저 역시 직업적인 소명의식 이런 게 처음엔 없었다"며 "이 친구들도 마찬가지다. 오늘 벌어진 일을 수습하기 급급하고 휴가만 기다리는 그런 모습들이 담겨져 있을 것"이라며 "요즘 성장 서사가 없더라"라며 "차근차근 기다리는 성장보다는 극적인 성공서사를 보고 싶어하는 거 같더라. 오랜만에 보는 감동이 있는 성장 서사물, 청춘물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연출을 맡은 이민수 감독은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스핀오프이기 때문에 기존 시리즈물을 갖고가면서 새로운 부분을 보여준다고 생각했는데 율제병원은 율제병원이다. 그 옆에 어딘가 떨어져 있는 종로율제분원의 이야기로 변주를 줘봤다. 의사는 의사인데 잘하는 교수님들이 아니라 서툰 레지던트들을 내세우면서 기존의 분위기는 가져가되 색다른 분위기를 주려고 노력했다"며 "산부인과를 저도 잘 몰랐는데 산과와 부인과로 나뉜다. 출산을 담당하는 산과와 질병을 다루는 부인과로 나뉘는데 또 다른 곳, 성장 서사가 잘 어울려서 다양하고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이 많이 나올 수 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작품은 그동안 계속되는 의료 파업과 공백 속 시청자들의 반발심이 이어지면서 공개를 미뤄왔다. 당초 지난해 라인업으로 공개됐어야 하는 드라마이지만, 해를 넘겨 결국 올해 공개를 확정한 것. 여전히 의료 공백에 대한 시민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슬전생'이 이를 해소할 수 있을지 관심이 이어진다.

신원호 감독은 이 상황에서 공개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드러내면서 "그런 환경이 아니었다면 제가 이 자리에 안 있었을 거다. 직접 연출한 친구들이 예쁘게 홍보하고 그랬을 것이다. 아무래도 보호자 역할을 하다 보니까 자꾸 제가 얼굴을 내밀게 된다"고 입을 열었다.

신 감독은 "노심초사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희가 걱정했던 부분은 한 가지다. 대본을 내고 촬영을 하고 촬영 중반 이후에 이런 사태가 벌어졌는데, 언제 끝날지 알 수 없고 지금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저희가 걱정한 바는 딱 한 개였다. 젊은이들의 예쁜 이야기를 보시는 분들이 콘텐츠 그대로 즐겁게 보셔야 하는데 다른 논리로 비뚤어지게 보이고 다르게 읽힐까 하는 부분이 걱정되는 부분이라, 편성을 작년 예정보다는 조금씩 의논해가면서 미뤄왔던 거다. 만들어서 풀어내는 것까지가 저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보시는 것은 오롯이 시청자들의 몫이고 이렇게 보든 저렇게 보든 물어뜯든 깨물어보든 보시는 분들의 몫이라 처분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제가 연출이면 여기까지만 말할 것 같은데, 제가 아빠라서 '제발 많이 봐주세요'다. 너무 고생들 했고, 저희 작가, 배우들 이제 막 시작하는 친구들이라 너무 예쁘게 만들었고 재미있다. 다른 이유로 못 보게 된다면 가슴이 아플 것 같아서 제 것 할 때는 부탁을 안 드리겠다. 많이 봐주시고 사랑해주시면 좋겠다"고 했다.

이민수 감독은 "일단 저희 촬영 후반부쯤에 이런 일이 생겨서 소식을 들었는데, 의외로 촬영 현장 분위기에서는 전혀 타격을 받지는 않았던 것 같다. 저도 배우들도 미리 계획되고 나와 있던 대본들을 재미있게 촬영하고 끝나가는 게 아쉬울 정도였다. 배우들끼리도 너무 친해져서 그게 많이 아쉬웠을 뿐이다. 다른 사회적 이슈 때문에 현장 분위기가 침체되지는 않았다"고 했다.

다만 여전히 '현실과는 거리가 있다'는 의견이 대다수. 산부인과에 전문의가 현저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지만, 이 작품에서는 네 명이나 등장한다. 신원호 감독은 "저희 팀은 아무래도 리얼리티를 살린다고 하는 이미지들이 있다 보니까, 현실하고 이런 부분은 맞지 않는다는 질문을 많이 받고는 한다. 현실에서 개연성이 있다 싶은 이야기를 허구로 만들어내는 팀이고, 디테일을 리얼리티로 많이 채워가는 팀이지 모든 것을 반영하기는 힘들다. 허구의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드라마다 보니까. 김송희 작가가 취재를 많이 했다. 저도 '제발 전공의가 많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부족한 현상이 있다고 하더라. 저희에게 판타지라고 하시는데 저희는 많은 사람이 원하는 바를 그려내고 싶은 팀이고, 그게 좋은 결과로 이어지면 됐지 뭐라고 불리든 크게 상관이 없다고 생각해서 바라는 바가 있어서 구성을 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고윤정은 "너무 설레고, 저는 '언슬전' 촬영 중에 다음 차기작이 정해져서 그 작품을 한 달 전까지 열심히 촬영하면서 열심히 시간을 보냈던 것 같다. 이렇게 오랜만에 두세 달에 한 번씩 얼굴을 보던 멤버들을 이렇게 보니까 새롭고 반가운 것 같다"고 했다. 신시아는 "오랫동안 기다렸던 순간인 만큼 감사한 마음이 큰 것 같다. 떨리고 설레기도 하고 촬영을 하면서 진짜 가족처럼 친해져서 새로운 가족이 생겼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가족들과 함께 열심히 본방사수를 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강유석은 "은명이가 어엿한 의사가 됐다. 은명이 촬영이 먼저였고, 그 다음이 '언슬전'이었기에 저는 누가 먼저 오픈이 되든 크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저희가 열심히, 정말 행복하게 친구들과 촬영이 끝나는 게 아쉽고 슬플 정도로 열심히 재미있게 잘 찍은 작품이라 당장 내일 모레 작품이 나온다는 생각만으로도 감사하고 행복한 시간을 즐기고 있다. 은명이는 여러분들이 보시면서 답답해하시는 분들도 많고 '은쪽이'라 부르시며 '쟤 왜 저래'하시기도, 마지막에는 많은 분들에게 눈물을 드리기도 했지만, 여기서는 좀 더 밝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에 여러분께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신원호 감독은 마지막까지 "풋풋하고 설레는 청춘물이다. 재미가 상승곡선을 그리는 드라마다. 많은 사랑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오는 12일 오후 9시 10분 첫 공개된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