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독감 걸린 후 '근육 괴사' 소아 환자 증가…'이런 증상' 보이면 의심

by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최근 소아·청소년 사이 B형 독감에 걸린 후 후유증으로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 증상 사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횡문근융해증은 골격근이 손상되며 근세포 내 물질들이 혈액으로 유출되는 질환으로, 특히 미오글로빈이 신장에 손상을 주어 급성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합병증이다. 독감 후 회복 중인 아동에게서 갑작스러운 심한 근육통, 걷기 어려움, 진한 색의 소변이 나타날 경우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의가 나왔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회장 최용재 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는 "소아 B형 독감과 관련된 횡문근융해증은 소아청소년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았는데 최근 소아청소년 감염질환의 증가로 인해 발생 사례 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와 함께 사전에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소아에서의 횡문근융해증은 바이러스 감염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나타나고 이는 급성 신손상(AKI)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소아청소년병원협회 회원병원 등을 대상으로 조사해 본 결과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한 근육통, 보행장애, 짙은 소변 임상 건수가 78건에 이르렀으며 대부분 5세부터 12세 사이로 보고됐다"고 밝혔다.

협회는 "이 중 64%가 입원 치료를 필요로 했다"고 전했다.

최용재 회장은 "올해 B형 독감은 일반적으로 경증으로 알려져 있지만 기존과 다르게 일부 아동에게는 바이러스성 횡문근융해증이라는 심각한 후유증 발생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소아는 본인의 증상을 명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호자들의 세심한 관찰과 빠른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 회장은 "횡문근융해증은 조기 발견 시 충분한 수액치료와 전해질 조절만으로도 회복 가능한 질환이므로 독감 회복기에 아이가 평소와 다른 근육통이나 움직임 이상을 보일 경우 즉시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라고 거듭 역설했다.

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전국 병원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보건 당국도 이 현상을 예의 주시하면서 대책 마련을 함과 동시에 소아청소년 전문의와의 협조 체계 구축이 뒤따라야 한다"고 제언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