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명품특허로 기술주도권 확보"…특허청, 지식재산 전략포럼 개최

by


기업·투자자 관점에서 명품특허 창출·활용 방안 논의

(대전=연합뉴스) 이은파 기자 = 특허청이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시대를 맞아 '명품특허'를 통한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지식재산전략연구회와 함께 15일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에서 '2025년 제1차 지식재산(IP) 전략포럼'을 개최했다.
이 포럼은 명품특허 창출·활용에 대한 IP 혁신 생태계 핵심 주체별 의견을 듣고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명품특허는 경제적 가치가 큰 혁신기술에 대해 넓은 독점적 권리를 누릴 수 있고, 제3자에게 유효하고 명확해 권리 안정성이 단단한 '돈 되는 특허'를 말한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시대, 명품특허가 답이다'란 주제로 열린 포럼에서 특허를 만들고 직접 사업에 활용하는 기업과 투자를 통해 특허를 수익화하는 투자사 대표 등이 발제자로 참여해 시장 관점에서 명품특허를 창출, 활용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신영기 에이비온 대표 겸 서울대 약학대 교수는 "제약·바이오 기업 생존은 기술 우수성뿐 아니라 기술을 보호·확장할 수 있는 지식재산 전략에 달려 있다"며 "특허 연계 연구개발 내재화를 통해 기술과 특허 전략이 병행되는 구조가 정착될 때 세계 시장에서 통용되는 명품특허 창출과 산업 경쟁력 강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한선 LG에너지솔루션 전무는 "LG에너지솔루션의 글로벌 배터리 시장 선점 배경에는 기업에 정착된 특허 연계 연구개발 문화가 핵심 역할을 했다"며 "다만 최근 중국 등 후발주자가 특허 선점 경쟁에 가세하고 분쟁도 증가하는 만큼 글로벌 시장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기업은 물론 특허청과 법원, IP 업계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한철 더웰스인베스트먼트 전무는 고품질 특허가 높은 투자수익률로 이어진 사례를 발표하며 "명품특허 활용을 촉진하려면 특허를 돈으로 만들 수 있는 전문인력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백만기 지식재산전략연구회 위원장 주재로 이어진 토론에서는 기업·학계·법조계 등 여러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포럼 참석자들이 명품특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우리나라 특허가 양적으로 지식재산 강국 반열에 오른 만큼 이제 질적 성장 논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으며 IP 생태계 주체뿐 아니라 유관 부처와도 긴밀하게 협업할 것을 주문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자본과 인력 규모에 한계가 있는 우리나라가 기술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쥐려면 원천·핵심 특허 확보와 사업화, 수출까지 이어지는 IP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통해 연구개발 투자 성과를 높여야 한다"며 "주요 혁신 주체와의 소통 강화를 통해 민간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명품특허 정책을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sw21@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