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작년 폐현수막 최소 5천408t…재활용은 3분의 1 그쳐

by


재작년과 비교하면 발생량 줄고 재활용률 올라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지난해 버려진 현수막이 최소 5천여t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재활용된 것은 3분의 1에 그쳤다.
15일 정부에 따르면 작년 전국에서 발생한 폐현수막은 5천408t, 재활용률은 33.3%(1천801t)이다.
재작년(발생량 6천130t·재활용률 29.6%)에 견줘 발생량은 줄고 재활용률은 올라갔지만 여전히 3분의 2는 소각 등의 방식으로 그냥 폐기됐다.
정부가 집계하는 폐현수막 양은 지방자치단체가 수거한 양을 기준으로 한다.
지자체 정비 대상이 아닌 현수막이나 설치자가 스스로 철거한 현수막은 집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기후변화행동연구와 녹색연합은 2022년 10㎡ 크기 현수막 1장(중량 1.11㎏)을 만들고 폐기하는 과정에서 4.03㎏(이산화탄소 환산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를 적용하면 작년 현수막 때문에 최소 1만9천634t의 온실가스가 나왔을 것으로 보인다.
폐현수막 재활용률을 높이고자 환경부와 행정안전부는 16일부터 한 달간 '제2회 폐현수막 자원순환 문화조성 경진대회'를 연다.
대상은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으로, 폐현수막 재활용 실적과 계획을 제출하면 평가해 우수기관 6곳을 선정한다. 민간기업의 경우에도 지자체나 공공기관과 협업한다면 참여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경진대회를 통해 지자체와 민간업체 협업이 확대되고 있다"면서"폐현수막 재활용 관련 조례가 있는 지자체도 작년 1차 경진대회 이후 75곳으로 종전 5곳보다 매우 늘었다"고 설명했다.
jylee24@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