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봄꽃 여행은 '그림의 떡'…설레던 부모님 '이것' 때문에 눈물

by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 60대 여성 A씨는 딸들과 봄꽃 여행을 계획했다가 최근 취소했다. 무릎 관절염 통증이 다시 도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파스를 붙이며 견뎌온 A씨는 결국 병원에서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

A씨처럼 봄나들이를 예정했다가 포기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3~2024년 관절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가 2023년에는 3월, 2024년에는 4월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골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 손상되거나 퇴행성 변화로 뼈, 인대 등이 손상되어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부른다. 퇴행성 관절염은 60대 전후 흔하게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년기 질환으로, 전체 환자 중 60대 이상이 84%에 이른다.

퇴행성 관절염의 기본 증상은 통증이다. 관절염 초기 아프다 말다 반복되는 무릎 통증을 그저 노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여겨 방치하거나 통증 완화를 위해 파스를 붙이거나 찜질을 하는 등 자가 치료만 진행하다 조기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퇴행성 관절염은 극심한 무릎 통증과 관절의 변형, 외부 활동의 급격한 제한으로 노년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또 심한 통증은 신경을 날카롭게 만들거나 보행 제한으로 인해 외부 활동이 줄면서 고립감을 느끼거나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바른세상병원 관절센터 엄상현(정형외과 전문의) 원장은 "퇴행성 관절염은 병이 발생해서 진행된 경우에 관절상태를 완전히 원래대로 회복을 시키기는 어려우며 더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유지 관리를 지속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 방향이기 때문에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증상 초기라면 약물, 연골주사 치료, 체중 조절 등 보존적 방법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보존적치료에 증상 개선 효과가 없고, 인공관절수술을 하기에는 이른 중기 관절염 환자의 경우 PRP(자가혈소판 풍부혈장) 주사 치료도 시행해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다면 인공관절치환수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절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근육은 인대와 함께 뼈대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근육이 뼈와 인대를 한번 더 둘러싸 충격을 흡수하고 단단히 지대해 주고 있다. 근육이 감소하면 관절 통증이 심해지는데, 이는 약해진 근육이 관절에 전달되는 무게를 부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절 주변의 근력 강화는 관절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이 튼튼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노년층의 경우 실내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만으로도 근력운동 효과를 볼 수 있다. 몸에 전체적으로 근력이 없는 상태라면 하체에서부터 근력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하체에는 몸 전체 근육의 70%가 몰려 있어 근력운동 효과가 좋고, 근육량을 늘리기 쉽기 때문이다. 운동은 1주일에 3회, 한 시간 정도 꾸준히 하는 게 좋고, 이와 더불어 운동 후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도 근력 강화에 효과적이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