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민주, '세종 시대' 청사진 공식화…충청 표심 끌어안기

by


이재명·김경수·김동연 "대통령실 세종 이전" 한 목소리
'용산 체제' 결별하며 중원 민심 구애…개헌론 맞물려 주목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오규진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들이 집권을 전제로 한 '세종 대통령실 시대' 청사진을 17일 사실상 공식화했다.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후보 등 경선에 뛰어든 모든 후보가 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공약으로 발표하면서 대선 본선에도 민주당의 공식 공약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우선 이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균형발전의 심장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다"며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김경수 후보는 지난 13일 세종에서 출마선언을 하면서 행정수도 세종 완전 이전 및 대통령집무실 세종 이전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김동연 후보 역시 그동안 "대통령실, 국회, 대법원, 대검을 세종시 및 충청권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이같은 움직임의 배경에는 우선 윤석열 정부 '용산 대통령실'과의 결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집무실을 이전해야 한다는 판단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김경수 후보의 경우 기자회견에서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해선 안 된다"며 "불법으로 쌓아 올린 내란의 소굴에서 새 대통령이 집무를 시작하는 건 내란의 잔재와 완전히 결별하지 못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산'을 계승한다는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공약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아울러 민주당의 첫 순회경선지가 충청으로 결정되면서, 주자들의 충청권 공약이 다른 지역 공약에 비해 더 빠르게 공개되고 있다는 점 역시 이런 흐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대선 본선까지 염두에 둔 행보로 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선에서 '캐스팅보터'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원 민심을 공략하는 데에도 유용한 어젠다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후보 캠프 강훈식 총괄본부장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민주당에서도 충청이 모든 대통령 선거에서 '바로미터'였다는 점을 당에서도 잘 알고 있다. 우리 캠프도 충청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자연스럽게 경선 후보 토론회 등을 거치면서 후보들의 '공통 공약'으로 선정이 되고, 공식 공약으로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당 내부의 움직임도 빨라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구체적인 이전 '로드맵'도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당내에서는 우선 아주 단기간이라도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한 뒤 문재인 정부 때 썼던 청와대를 보수해 들어가고, 차기 정부 임기 내에 세종으로 완전 이전하는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김경수 후보의 경우 용산 대통령실 사용 가능성을 배제하고 우선 서울 광화문 청사와 세종 총리 집무실 등을 이원으로 사용하며 세종 대통령실 완전 이전을 기다려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이처럼 논의 자체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행정수도 이전을 위해서는 개헌이 동반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 만큼 실제 이전이 이뤄지기까지는 많은 관문이 남아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강 본부장은 "국회 및 대통령 집무실 이전은 수도 이전에 가까운 내용"이라며 "개헌과도 맞물린 내용이다. (자세한 사항은) 이 후보가 토론회 등에서 입장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연 후보의 경우 "개헌을 추진하며 지방분권과 자치 발전의 구체적인 내용을 헌법에 담는 기조를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등 세종 이전을 위한 개헌에 상대적으로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전 세부 계획 등에서 주자들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큰 취지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으니 토론을 거쳐 접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ysup@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