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개 특화존으로 '오프라인 쇼핑' 장점 극대화
10개 신선품목 업계 최저가…본업 경쟁력 집약
강동지역 할인점만 5개 몰려…'강동대전' 개막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이마트는 17일 서울 강동구 고덕비즈밸리에 식료품 특화 매장인 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을 열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문을 연 대구 수성점에 이은 두 번째 푸드마켓이다.
고덕점은 강동 아이파크 더리버 지하 1층에 4천925㎡(1천490평) 규모로 자리했다.
입점 매장(테넌트)을 제외한 직영 면적(3천471㎡·1천50평)의 95%를 식료품으로 채운 게 특징이다. 이마트 매장 가운데 가장 많은 1만3천여개 식료품을 구비했다. 오프라인 매장의 장점을 극대화한 특화존만 21개에 달한다.
고덕점에선 이마트가 10대 신선식품으로 선정한 국내산 냉장 삼겹살과 목살, 양념소불고기, 손질 오징어, 전복, 애호박, 양파, 대파, 바나나, 보조개 사과 등을 업계 최저가 수준에 판매한다.
건강·이색·프리미엄 식재료도 강화했다.
대표적으로 저속노화에 관심이 높은 트렌드를 반영해 수입 과일·채소를 모은 '글로벌 가든'과 웰빙 간식용 컵 과일, 스틱 채소를 신규 개발해 배치한 '프레쉬스낵존'을 선보인다.
국산 흑돼지 3종을 모두 판매하는 'K-흑돼지존'과 연어 상품을 집대성한 '연어의 모든 것'도 눈에 띈다.
고물가 시대 우수한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로 주목받는 즉석조리식품(델리)도 한층 강화했다.
매장 인근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이 부담 없이 한 끼를 즐길 수 있는 '오늘의 메뉴'를 제안하는 '테이스티 픽'(Tasty Pick), 매일 매장에서 직접 빵을 구워내는 베이커리 전문매장 '밀&베이커리'(Mill&Bakery)가 눈에 띈다.
다양한 수입 젤리와 비스킷을 모은 미니 편집숍 '스위트 스트리트'(Sweet Street), 국내 할인점 최대 규모의 치즈 전문 코너 '치즈 플리즈'(Cheeeese Please) 코너도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신도시와 오피스 복합 상권에 있는 고덕점은 신선식품과 즉석조리 델리에 특화한 정통 푸드마켓 컨셉트로 한층 진화했다"며 "이마트의 본업 경쟁력인 식료품 상품 개발과 기획 노하우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넥스트 이마트'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고덕점은 이마트가 지난 수년간의 매장 효율화 작업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출점 전략으로 방향을 트는 상징성도 있다.
이 점포는 지난 2월 개장한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트레이더스) 마곡점에 이어 올해 서울지역에 두 번째로 문을 연 이마트 점포다.
이마트가 서울에 한 해 2개 점포를 출점하는 것은 2012년 마포·하월곡점 개점 이후 13년 만이다.
할인점으로 좁히면 2020년 신촌점 이후 5년 만에 서울에 들어서는 신규 점포다.
이마트 푸드마켓 수성점까지 포함하면 4개월 만에 3개 점포가 잇따라 문을 연 셈이다.
올해 하반기에 인천지역에 트레이더스 신규 점포가 들어서면 2020년 이후 줄곧 감소세를 보인 점포 수가 5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말 기준 154개인 점포 수가 올해 말 157개로 늘어나게 된다.
이마트는 이를 기점으로 외형 성장을 본격화해 오프라인 유통의 본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한채양 이마트 대표이사는 "앞으로 푸드마켓과 몰 타입의 혁신적인 매장 운영과 차별화된 상품으로 그로서리(식료품) 쇼핑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개점으로 서울 강동지역의 할인점 간 고객 유치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강동에는 이마트 천호점과 명일점, 홈플러스 강동점, 롯데마트 천호점 등이 몰려 있는 서울시내 대표적인 유통 격전지다.
재개발·재건축으로 새롭게 조성된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기반으로 한 지역 상권의 성장세도 가파르다. 지금도 신규 입주가 이어지고 있어 배후 상권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케아가 서울 첫 매장 입지로 강동을 낙점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이케아 강동점도 이날 영업을 시작하며 '강동대전'에 명함을 내밀었다.
한 대형마트업체 관계자는 "서울에서도 한 지역에 이처럼 다양한 유통 채널 몰려 있는 곳은 찾기 어렵다"며 "서울지역 대표적인 소비자 '테스트베드'(시험무대)로 부상한 강동에서 유통채널 간 진검승부가 펼쳐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luch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