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미칠 영향엔 '회의적' 평가…"3천58명만으로 복귀할 거라 보긴 힘들어"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확정한 데 대해 의료계가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일 년 넘게 이어진 의정갈등으로 신뢰가 무너진 상황에서 증원 동결 하나만으로 의대생들이 수업에 참여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17일 교육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천58명으로 확정해 의대 증원 규모를 '0명'으로 되돌린 데 대해 의료계에서는 일단 고무적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모집인원 확정으로) 일단 한 발 정도 나아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 결정을 긍정적으로 봤다.
단 의대생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당장 돌아올 수 있는 방법이 마땅찮은 전공의들이 어떻게 반응할지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섣불리 예측할 수 없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일부 사직 전공의들은 정부의 태도 변화를 긍정적으로 보며 이제는 사태 해결을 위한 의정 간 대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촉구한다.
익명을 요구한 사직 전공의 A씨는 "정부가 해결 의지를 보였다고 생각한다"며 "이제 해결 의지가 있는 사람들이 머리를 맞대야 할 때"라고 말했다.
사직 전공의들 역시 여전히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의대생들의 마음을 돌릴 계기가 될지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다고 봤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사직 전공의 장재영 씨는 "(정부의 모집인원 확정이) 사태 해결의 첫걸음이 될 수는 있겠지만, 3천58명만으로 의대생들이 다 돌아올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도 "정부 움직임에 의료계가 호응해 조금 더 적극적으로 협상이나 대화할 필요는 있겠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정원을 3천58명으로 정하는 것 외에 필수의료 정책 변화, 책임자에 대한 문책 등 '플러스알파'를 약속해야 한다거나, 이번 조치만으로는 현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반응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의대 교수는 "그동안 두들겨 팬 깡패(정부)가 '이제 안 때릴 테니까 됐지?' 하는 느낌"이라며 "이제 이 정도 했으면 되지 않았느냐는 식의 태도로는 (의대생·전공의들의 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힘들 것"이라고 일축했다.
jand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