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2025추경] 중기부, 통상·내수 위기대응에 5조112억원 편성

by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 1조5천700억원 등 3대 분야 집중 지원

(서울=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통상문제, 산불 피해, 더딘 내수 회복과 인공지능(AI)발 기술 경쟁 등 당면한 대내외 위기 극복을 위해 올해 추가경정예산 5조112억원을 편성했다고 18일 밝혔다.
통상리스크(위험) 대응 지원, 민생회복지원, AI 등 신기술 대응 지원 등 3대 분야를 중점으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먼저 미국 관세 조치 등 대외 불확실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중소기업의 통상리스크 대응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한다.
미국 관세 품목업종을 영위하는 기업 또는 대미 수출 중소기업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1천억원을 올해 한시적으로 신설하고 금리우대, 거치기간 및 만기 연장을 실시한다.
수출국 다변화, 신시장 진출 등에 필요한 자금 1천억원과 일시적 경영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의 긴급 유동성 공급을 위한 자금 5천억원을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신용보증기금(3조3천억원)과 기술보증기금(1조2천억원)을 통해 4조5천억원 규모의 '위기기업특례보증'을 신설한다.
수출바우처 사업에 898억원을 추가 투입하고 해외규격인증 획득 비용 지원을 위해 100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공과금, 보험료 등 영세 소상공인의 고정비용 부담 완화 및 유동성 제공을 위해 연 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에게 크레딧(50만원)을 지원하는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 신규사업을 1조5천700억원 규모로 새로 만든다.

작년 대비 증가한 카드소비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에는 1조3천700억원을 투입한다.
중·저신용 소상공인의 단기 운영자금 조달 어려움 해소를 위해 1천만원 한도의 구매 전용 신용카드인 '소상공인 비즈플러스카드'를 신설한다. 이 카드는 금융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이자 6개월 할부 혜택을 제공한다.
소상공인 정책자금을 5천억원 규모로 추가 확대하고,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2조원 규모의 신규 보증공급을 확대한다.
소상공인의 신속한 재기를 위해 점포철거비 등을 지원하는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에 494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경기 악화로 위축된 전통시장 및 상점가를 대상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 환급행사를 5개월간 추진한다.
AI 등 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스케일업(Scale-Up·규모 확장 또는 성장) 지원 및 지능형 공장의 AI 기술 도입·활용 등도 추진한다.
고도의 기술력을 가진 AI 분야 유망 기술기업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민간투자와 연계한 R&D(연구개발) 프로그램인 '스케일업 팁스'를 확대한다.
AI 기술이 중소 제조 현장에 적용·확산할 수 있도록 제조 로봇, 공정자동화 구축 및 클라우드 설루션 개발을 지원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이번 추경 예산안을 통해 미국의 관세 조치, 산불 피해, 침체한 내수경기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난 해소와 활력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hacha@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