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공정위, 확률형 아이템에 연이어 철퇴…긴장하는 게임업계

by


엔씨·웹젠·컴투스·크래프톤도 공정위 조사 받아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게임업체의 유료 아이템 확률 조작 의혹에 대해 잇달아 과징금·과태료와 시정명령을 부과하며 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공정위는 21일 전자상거래법 위반 혐의로 국내 게임사 그라비티와 위메이드에 재발 방지방안 보고 명령과 함께 과태료 각 250만원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게임은 그라비티의 '라그나로크 온라인'과 위메이드의 '나이트 크로우'다.
공정위는 이들 게임이 유료로 확률형 아이템을 판매하면서 당첨 확률을 소비자에게 실제 확률보다 훨씬 높게 부풀려 고지했다고 봤다.
다만 공정위는 게임사 측이 판매 대금을 이용자들에게 환불하고, 보상 아이템을 지급하는 등 충분히 피해 보상 조처를 한 점을 인정, 과징금 대신 과태료 처분을 내렸다.
공정위는 이보다 일주일 앞선 지난 14일에도 '그랜드체이스 클래식'을 운영하는 국내 게임사 코그(KOG)에 시정명령과 과징금 3천600만원을 부과했다.
캐릭터 성능을 올리는 확률형 아이템의 당첨률이 매번 정해져 있다고 고지했지만 실제로는 일정 횟수 전까지 당첨이 불가능하고, 이미 장비를 보유한 경우 당첨률이 떨어지는 등 '변동 확률'을 적용한 것이 컸다.
공정위는 이달 발표한 3건의 확률형 아이템 관련 사건 외에도 ▲ 엔씨소프트 ▲ 웹젠 ▲ 컴투스 ▲ 크래프톤 등 다수의 게임사에 대해 지난해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공정위가 지난해 1월 넥슨의 대표작 '메이플스토리'의 아이템 확률 조작 의혹으로 국내 게임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인 116억 원의 과징금 등 제재를 내리면서 게임 소비자들의 관련 신고가 공정위로 몰린 탓이다.
이 중 웹젠은 모바일 게임 '뮤 아크엔젤'에서 발생한 확률 조작 의혹을 비롯해 '뮤 오리진'·'어둠의 실력자가 되고 싶어서' 등의 게임 서비스 종료 공지 과정과 관련해서도 공정위 조사를 받고 있다.
컴투스와 크래프톤도 각각 '스타시드: 아스니아 트리거'와 'PUBG: 배틀그라운드' 관련 분쟁으로 지난해 현장조사를 받았다.
엔씨소프트의 경우 확률형 아이템에 더불어 '리니지M'과 '리니지2M'에서 게임사 관계자가 관리자 권한을 악용해 이용자 간 경쟁 콘텐츠에 몰래 참여했다는 '슈퍼계정' 의혹으로도 조사를 받고 있다.
이는 리니지M·리니지2M 이용자 1천 명이 엔씨소프트에 '슈퍼계정' 의혹과 관련해 집단민원을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해 접수한 게임 확률 아이템 관련 신고사항에 대한 조사를 대부분 마무리 짓고 발표를 앞둔 것으로 전해졌다.
juju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