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日인기 동명소설 '오세이사' 뮤지컬로 본다..이준·솔빈 등 화려한 캐스팅 기대감UP

by

뮤지컬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제작 라이브러리컴퍼니, 유니버셜라이브·이하 오세이사)가 오는 6월 13일 코엑스 신한카드 아티움에서 개막한다.

제작을 맡은 라이브러리컴퍼니는 일본 대형 출판그룹 카도카와와 동명 소설 원작의 공연화 판권 계약을 체결하고 무대화를 준비해왔다. 원작 소설은 2020년 정식 출간된 후 눈물샘을 자극하는 애틋한 러브스토리로 1020세대에게 큰 사랑을 받으며 영화 제작으로 이어졌다. 2022년 개봉한 동명 영화는 제35회 '닛칸스포츠 영화대상'에서 '팬이 뽑은 최고작품상'을 수상하며 그 인기를 입증했다.

국내에서는 2021년 출간돼 석 달 만에 판매 10만부 돌파 및 하반기 외국소설 1위에 등극했다. 이후 현재까지 240쇄가 발행돼 50만 부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영화 역시 2022년 국내 개봉 이후 121만 관객을 동원하며 원작의 흥행성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영화는 최근 10년간 국내 개봉된 일본 실사 영화 중 흥행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오세이사'는 괴롭힘 당하는 친구를 돕기 위해 거짓 고백을 하게 된 도루가 자고 일어나면 전 날의 기억이 사라지는 선행성 기억상실증을 앓는 마오리와 가짜 연애를 시작하게 되며 겪는 일들을 그린다. 여기에 마오리의 기억 문제를 알고 곁을 지키는 절친 이즈미를 비롯한 친구들이 쌓아가는 추억의 순간들과 관객들이 마오리의 기억상실을 잠시나마 경험할 수 있게 구성한 연출 등은 자극적 사건이 없는 작품에 다이나믹 요소로 작용되며, 뮤지컬에서만 느낄 수 있는 매력 포인트가 될 예정이다.

캐스팅 면면도 화려하다. 매일이 한 번뿐인 마오리에게 즐거운 추억을 가득 채워주고 싶어하는 다정한 아이 가미야 도루 역에는 이준, 윤소호, 김인성이 캐스팅됐다. '불가살', '붉은 단심', '7인의 탈출' 등의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탄탄한 연기력을 보여주며 호평 받음은 물론, KBS2 '1박 2일 시즌4', SBS '정글밥2-카리브밥'에서도 활약하고 있는 배우 이준이 첫 뮤지컬 무대에 도전한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만능 엔터테이너로 불리는 이준은 이번 작품을 통해 또 한 번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며 관객들을 매료시킬 예정이다.

수려한 외모와 훤칠한 키 그리고 감미로운 미성으로 뮤지컬 '도리안 그레이', '마타하리', '마리 앙투아네트' 등에 출연하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배우 윤소호의 합류도 기대를 더한다. 뮤지컬 '에밀', '다윈 영의 악의 기원', '레드북' 등으로 탄탄히 필모그래피를 쌓아 올리고 있는 배우 김인성도 함께 한다.

사고로 선행성 기억상실증을 앓게 되었지만 작은 희망 '남자친구'와 함께하며 매일의 행복을 느끼는 히노 마오리 역은 장민제, 솔빈이 맡았다. 뛰어난 가창력과 연기력으로 호평 받으며, 데뷔한 해에 '제6회 한국뮤지컬어워즈 신인상 여자 부분'을 수상한 배우 장민제가 사랑스럽고 밝은 히노 마오리를 연기한다. 걸그룹 라붐 출신으로 드라마, MC 등 여러 활동을 통해 사랑받아 온 배우 솔빈도 히노 마오리로 참여한다. 뮤지컬에 첫 도전장을 내민 솔빈은 사랑스러운 음색과 특유의 밝고 명랑한 성격으로 캐릭터의 매력을 표현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배우 오유민과 나현영, 신은총, 정지우, 임기홍, 김태한 등이 열연을 펼칠 예정이다.

각색에는 예술의전당 토월정통연극 '햄릿', 연극 '바닷마을 다이어리' 등의 작품 각색을 진행한 황정은 작가, 작/편곡에는 tvN '슬기로운 의사생활', '응답하라 시리즈' 등의 음악감독인 이상훈 작곡가, 연출에는 뮤지컬 '렛미플라이', '에밀', 연극 '베로나의 두 신사' 등을 작업했으며 제60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젊은연극상에 노미네이트 되었던 이대웅 연출이 참여한다.

황정은 작가는 "청소년의 이야기지만, 사랑과 상실의 경험을 갖고 있는 모든 이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작품을 만들고자 한다"며 "관객들이 두 인물이 맺는 관계와 상실에서 나아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일을 살아가게 하는 사랑과 기억의 힘을 가져갈 수 있길 바란다"고 각색 포인트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상훈 작곡가는 "원작을 접한 후 청소년기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음악언어는 '팝'이란 생각이 들었다"며 "섬세하고 대중적으로 전달력이 좋은 팝이란 음악적 언어를 통해 사랑을 비롯한 청춘들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