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롯데 자이언츠가 다시 '육성 카드'를 꺼내들었다.
일각에선 이런 롯데의 육성이 과연 목표를 이룰 수 있을 정도로 견실하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물음표를 띄우고 있다. 최대 약점으로 지적됐던 포수 자리 뿐만 아니라 전준우-민병헌-손아섭 이후의 외야 라인 구성, 선발-불펜 모두 중량감이 떨어지는 마운드 등 과제가 산적하지만,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 특히 안중열-나종덕 2인 체제로 이어지고 있는 포수 자리에선 이들의 롤모델이 될 만한 중량감 있는 포수 영입 없이 육성이 이뤄질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로요 코디네이터 영입 역시 롯데의 육성이 여전히 추상적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KBO리그 최고 인기 구단으로 타이틀에 대한 기대도 그만큼 큰 팬들의 기대치에 여전히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다.
다만 롯데의 발걸음이 육성에 머물 것이라고 섣불리 속단할 수 없다. 여전히 롯데의 발걸음은 '시계 제로'다. 차기 단장 선임 작업이 길어지면서 향후 청사진 그리기도 정체되고 있다. 야구계에서 자천타천 유력하게 거론되던 인사들마저 사정권 밖으로 밀려나는 등 롯데는 그 어느 때보다 신중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올 시즌 나락으로 떨어진 성적을 본 내부에서의 진단도 그만큼 심각한 분위기. 현재까지 흐름을 종합해보면 롯데가 궁극적인 전력 강화를 위한 육성 기조는 이어가되, 차기 단장 선임에 맞춰 현장에 힘이 실릴 수 있는 강화에도 어느 정도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