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FA 제도 개선안을 둘러싼 구단-선수 간 줄다리기가 '연봉총액상한(샐러리캡)'이라는 새로운 이슈로 번지고 있다.
KBO 이사회는 2022년 샐러리캡 시행을 전제로 2021시즌 종료 후 고졸(9년→8년), 대졸(8년→7년) 차등 적용되는 'FA 취득 기간 단축' 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상한액을 절대 넘겨선 안되는 '하드 샐러리캡' 또는 사치세 부과 등 예외규정을 두는 '소프트 샐러리캡'인지, 구체적인 샐러리캡 구간 등에 대한 조건은 제시하지 않았다. 선수협 입장에선 단순히 '시행'에만 맞춰진 샐러리캡 제안을 덜컥 받아들일 경우, 뒤따를 불이익에 대한 우려가 생길 수밖에 없다. 2일 투표를 앞두고 열린 설명회에서도 대부분의 선수가 구체적 샐러리캡 시행 방안에 대해 목소리를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FA 취득 기간 단축이라는 '열매'를 따기 위해선 샐러리캡을 포함한 FA 등급제 등 제도 개선안을 받아들이지만, 구체적인 안에 대해선 줄다리기를 펼치겠다는게 이대호 선수협회장이 밝힌 '조건부 수용'의 핵심이다. 합의했지만, 샐러리캡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FA 취득기간 단축안을 받지 않겠다는 그림이다.
때문에 KBO의 고민도 적지 않은 눈치다. 이사회에서 샐러리캡 시행을 제도 개선안에 담았지만, 구체적인 실행 내용을 담지 않은 채 FA 취득 기간 단축 조건이 연동되면서 어떻게든 발걸음을 내디뎌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KBO 10개 구단의 연봉 총액은 많게는 3배 이상 차이가 난다. 벌써 일부 구단에선 샐러리캡 도입 시 일정 금액 이상을 무조건 써야 하는 '의무소비율'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씀씀이가 적은 구단은 부담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반대로 연봉 총액 상위 구단들이 샐러리캡을 이유로 선수들을 대거 정리하고, 나머지 구단들도 이런 흐름에 맞춰 투자를 줄이는 '하향평준화'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KBO는 이달 중순 이후로 예정된 워크숍 및 내달 실행위원회를 통해 샐러리캡의 틀을 잡을 계획이지만, 어떤 안을 만드느냐에 따라 새로운 논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