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실=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최근 야수를 하다 공이 빨라 투수가 된 선수들이 제법 보인다. 롯데 자이언츠의 나균안과 '이도류'를 하고 있는 나원탁도 있고, LG 트윈스의 백승현 등이 얼마전까지 포수 혹은 내야수를 하다가 마운드에 오르는 인물이다.
그는 포수로 해외진출을 했던 선수였다.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한 포수 유망주였지만 해외에서 꽃을 피우지 못했고, 강한 어깨를 눈여겨본 KT가 그를 2015년 특별 지명으로 잡으면서 '투수' 김재윤의 시대가 시작됐다.
|
야수를 하다가 강한 어깨 하나로 투수 전향을 했다가 실패한 사례는 많았다. 아무래도 투수와 타자가 쓰는 근육이 다르고 또 투수가 공만 던지는게 아니라 견제, 수비 등 신경써야할 부분이 많다보니 멘탈관리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어려움을 딛고 김재윤은 조금씩 성장해 이제 1위팀 KT의 마무리로 우뚝 섰다. 야수에서 투수로 전향하는 선수들에겐 꼭 연구해야할 참고 모델이 됐다.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