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재앙이 찾아오는 건 불 보듯 뻔한 일.
큰 화제가 될 걸로 여겨졌던 로봇심판보다, 피치클락이 더 난리다. 10개 구단 감독들이 서로 다른 의견들을 내며 대립 아닌 대립을 하고 있다.
피치클락은 경기 시간 단축이라는 지상 과제를 위해 허구연 총재가 야심차게 도입하려 한 제도다. 이미 메이저리그에서 피치클락 제도를 사용하고 있고, 실제 경기 시간 단축에 큰 효과를 보고 있다.
|
문제는 찬성하는 감독들도 있다는 것이다. 이 감독들은 팬들을 위해 결국은 정착시켜야 하는 제도라고 주장한다. 이 또한 맞는 얘기다. 젊은 팬들은 이제 지루한 콘텐츠를 싫어한다. '쇼츠'가 대세인 가운데 3시간 이상 늘어지는 야구를 볼 젊은 팬은 많지 않다.
이에 3지대 주장을 펼치는 감독들이 나오고 있다. 제도의 취지는 공감을 하지만, 확실한 준비를 하고 1~2년 2군 등에서 확실한 제도 확립을 위한 시간을 가진 후 1군에 도입하자는 것이다. 올시즌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
문제는 서로간의 의도를 순수하게 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감독이나 구단들이 서로 간의 이해 관계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피치클락이 도입되면, 빠른 주자가 많은 팀들이 유리해진다. 견제가 한 타자당 3개로 제한되고, 시간에 쫓겨 투구를 하니 주자 견제에 신경을 쓸 수가 없다. 빠른 선수들이 많은 팀 감독들이 피치클락 제도를 찬성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도루 저지율이 낮고, 뛸 선수가 없는 팀 감독들이 피치클락을 무조건 반대하는 것 아니냐는 시선도 존재한다. 제도의 근원적 취지를 넘어, 각자 생존이 걸린 프로 무대에서 이런 이해 관계 대립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고, 예상된 일이기도 했다.
|
|
모든 룰은 시즌이 개막하기 전, 확실히 정해놓고 하는 게 최고의 선택이다. 시즌 중반에 변수를 둔다는 건, 여러 이해관계가 얽힌 프로리그에서 무수한 뒷 말을 낳을 수밖에 없다.
|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