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그래서 한화 감독은 도대체 어떤 사람이 맡아야 하는가.
일단 정경배 수석코치가 감독대행 역할을 한다지만, 하루 빨리 새 감독을 찾는 게 급선무다. 팀을 잘 아는 내부 인사를 승격시키는 것도 방법이겠지만, 손혁 단장은 외부에서 지도자를 영입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
다만, KIA와 한화는 또 다른 점이 있다. KIA는 시즌 전부터 전력상 우승 후보로 꼽혔다. 누가 감독을 해도 어느 정도 성적을 낼 수 있다는 전망이 많았다. 선택의 폭이 넓었다. 그래서 KIA는 감독 경험은 없지만, 내부 신망이 두터운 젊은 초보 이범호 감독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 감독도 준비된, 능력 있는 지도자지만 선수들 스스로도 어느 정도 경기와 시즌을 풀어갈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
하지만 한화는 이 선수들 외에 확실한 주전이라고 할 만한 선수들이 없다. 여전히 불완전 전력이다.
올시즌만 봐도 야수 운용을 일관성 있게 하기 힘들었다. 잘하던 선수가 벤치행, 2군행을 오갔고, 경기마다 타순도 변화도 잦았다. 장기적 관점에서 선수들의 잠재력을 끌어내고, 뚝심으로 자신이 선택한 선수들에 기회를 줄 수 있는 지도자 스타일이 필요하다.
그러려면 그룹과 구단의 일희일비가 아닌 기다림과 무한 신뢰가 필요하다.
|
한화는 그동안 수많은, 다른 유형의 감독들이 지휘봉을 잡았지만 모두 실패한 팀이었다. 이름값, 외국인, 육성형 등 다양한 캐릭터에 기댔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팀의 현 상황,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확실히 파악하고 정립한 후 그에 맞는 감독을 선임하는 절차가 중요한 이유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